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자식에게 물려줄 주식 투자 원칙

[도서] 자식에게 물려줄 주식 투자 원칙

최병운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KakaoTalk_20220126_215416087_03.jpg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서점에 가면 주식 서적이 항상 베스트셀러에 있었다. 그리고 그쪽에 관심이 없더라도 대화의 주제는 주식이던 시기였다. 그만큼 주식시장은 호황기였다. 그러나 현재 영끌하며 비트코인이나 주식을 산 사람들에게는 안 좋은 소식만 전해지고 있다. 누군가는 최고점을 찍은 지 오래라며 서서히 안정화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당장의 상황만 보고 '주식에 발을 빼야하나'라는 생각은 하지 말기를 바란다. 본래 주식은 단타로 버는 경우보다 장기로 버는 사람들이 거금을 회수할 확률이 더 크다.

 

이미 적자인 상황이라면 처음 시작했던 먼 과거를 후회하기보다는, 깨달은 지금 장기전으로 시작하는 게 낫다는 결론이다. 또, 장기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로 연금이 있다. 앞으로 우리 세대부터는 연금이 1조 이상 적자인 만큼 연금이 빛을 발하지는 않아 보이고, 본래 받으려던 수령액보다 낮은 금액을 받아야 할 시기가 올 것을 대비해야 한다면 장기 주식을 배워 노후를 준비하는 게 더 이득이라는 판단이다.

 

저자는 내가 예전에 재미삼아 주식을 했었을 때(단타)는 고려하지 않았던 것들에 대해 설명해 준다. 가령 베이비붐 세대부터 현재 MZ세대까지의 인구수에 따른 기업 간 매출 변동에 대해서 말이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꾸준히 줄어들 것이며 언제부턴가 출생자보다 사망자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전체 인구의 수는 감소된다. 그런데 그 인구수가 곧, 매출이라는 당연한 인과관계를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기에 새롭게 느껴졌다. (인구의 하락은 수요량의 감소로 이어지고 매출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그렇다면 농업, 어업, 임업과 같은 1차 산업부터 매우 급격하게 4차, 5차 6차 산업에 대비해야 한다면 우리는 어떤 기업을 선정해야 할까. 애플, 아마존, 삼성, 테슬라, 알리바바 등 어느 산업이 도래해도 끄떡없을 것 같은 거대 기업에 손을 얹어야 할까? 그렇다면 과거의 모토로라, 노키아와 같이 시장점유율 선두권에 있던 기업들을 생각해 본다면 무조건으로 신봉해서는 안 된다. 그 기업이 과거 이익에 취해 본인의 몸집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면 우리의 입장에서는 손해다.

 

이 책은 자식에게 물려 줄 만큼 오래오래 몸담을 수 있는 투자 방법에 관해 알려준다. 그만큼 장기적으로 수익이 상승할 종목들을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단기 투자가 안 맞거나 이제 주식에 시작하는 사람이 읽기에 좋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1.png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