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거지계(覆車之戒)
앞의 수레가 뒤집히는 것을 보고 뒷수레가 경계한다.
앞의 수레가 뒤집히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한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본보기로 하여 뒷사람이 똑같은 실패를 하지 않도록 조심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두무전(竇武傳)〉과 《한서(漢書)》의 〈가의전(賈誼傳)〉에 나오는 말이다. 〈두무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품행이 방정하고 귀족의 속물적인 악습에 물들지 않은 두무의 딸이 황후가 되자 두무는 장관이 되었다. 이때 환관의 세력이 강해 그들의 횡포는 날로 더해갔다. 그러자 이응(李膺)과 두밀(杜密) 및 태학생(太學生)들은 환관들의 횡포를 죄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자 환관들은 자기들을 모함하였다는 죄로 그들을 체포한 ‘당고(黨錮)의 금’사건을 일으켰다.
두무는 이 사건을 환제에게 “만일 환관의 전횡을 이대로 방치해 두면 진나라 때의 실패를 반복하는 것이며, 엎어진 수레의 바퀴를 다시 밟게 될 것입니다[覆車之戒]”라고 진언하였으며, 결국 체포된 관리 전원을 풀어 주었다.
전한(前漢)의 효문제(孝文帝)는 제후로서 황제가 된 사람이다. 그러자 세력이 강성한 제후들은 효문제를 우습게 여겼다. 이를 염려한 효문제는 가의, 주발(周勃) 등의 현명한 신하를 등용하여 국정을 쇄신하고자 하였다. 그 중 가의는 “엎어진 앞 수레의 바퀴자국은 뒷수레의 경계가 됩니다[前車覆 後車戒]. 하(夏), 은(殷), 주(周)시대는 태평성대를 누린 나라입니다. 이를 본받지 않는 나라는 오래 버틸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경계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복거지계는 이전에 실패한 전철을 다시는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뜻이며, 역으로 생각하면 이전의 좋고 훌륭한 점을 귀감으로 삼는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전거복 후거계(前車覆 後車戒)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