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호께이라는 작가를 알게 된 건 우연히 읽게 된 그의 소설 덕분이에요.
묵직한, 이라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것 같아요.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담아냈다는 무게감뿐 아니라 실제 책의 두께도 만만치 않아요.
이른바 벽돌책인데 첫 장을 넘기는 순간 휘리릭 빠르게 다음 장으로 계속 넘길 수밖에 없는 책이에요. 추리소설이라고 하면 셜록 홈즈, 제인 마플, 뒤팽과 같은 유명한 추리 소설 주인공을 떠올리거나 일본 추리소설이 익숙했는데, 찬호께이의 책을 읽은 뒤로는 단순히 흥미 위주의 미스터리 장르가 아닌 지극히 현실적인 사회 문제에 주목하게 되었어요. 찬호께이는 1970년대에 홍콩에서 태어나 1980년대에 성장한 세대로서 홍콩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이야기로 풀어내고 있어요. 책 제목인 《13.67》은 2013년과 1967년을 가리키며, 1967년부터 2013년까지 벌어진 여섯 건의 범죄사건을 다룬 여섯 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연작소설이에요. 시간 역순의 연대기 형식은 일찍부터 결정된 부분이며, 2013년 현재에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는 것은 의도적인 장치였어요. 저자는 오늘의 홍콩이 작품 속 홍콩처럼 똑같이 괴상하다고 표현했는데, 이는 몹시 뼈아픈 통찰인 것 같아요. 최근 홍콩 민주화 운동을 보면서 섬뜩한 공포를 느꼈어요. 추리소설은 사건 중심으로 범인을 밝혀내는 것에 초점을 두는데, 찬호께이는 사건보다는 한 인물과 그를 둘러싼 모든 것들,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어요.
「흑과 백 사이의 진실」 에서 주인공 관전둬는 암 말기 혼수상태에 빠져 있고, 그의 제자이자 파트너인 뤄샤오밍이 특수한 기계장치를 통해 관전둬와 대화를 나누면서 사건의 진상을 조금씩 찾아가고 있어요. 천재적 추리 능력을 지닌 관전둬가 혼수상태에서 '예'와 '아니오'로만 대답한다는 설정이나 예상치 못한 반전은 놀라운 충격이었어요. 섬세하게 짜여진 직물처럼 전부 완성되고 나서야 지나온 과정을 되짚으며 이해할 수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빠져들게 만드는 매력이 있어요. 결국 가장 큰 충격은 인간의 본성이 아닐까 싶어요.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