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네 명의 완벽주의자

[도서] 네 명의 완벽주의자

이동귀,손하림,김서영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네 명의 완벽주의자]

 

완벽주의자 성향?

사교형과 안정형에 속하는 내가 듣고 싶은 소리였다.

나에게 완벽주의자들은 질서 논리정연하고 세부사항에 초점을 두며 대인관계에 매우 예의를 갖추는 탐구적이고 정확하고 체계적이며 안정적인 스타일로 보였기에 그들의 신중함이 꼼꼼함이 너무 부러웠다.

과유불급이라 했던가? 적당함이 좋다고 표현해가며

완벽주의자들이 그들의 지나친 완벽주의성향에는 우울중과의 관계가 깊다는 것이

놀라웠다.

틀린것에 대한 두려움과 규칙 준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본인들 스스로도 자기 판단과 성향을

잘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국 알렉산더 리딩이 타인의 비난 자기에 대한 비판으로 자살하게 되는 불행한 완벽주의자였던 반면 우리가 잘아는 기생충의 봉준호는 자기의 완벽주의자 성향을 잘 이용하여 그것을 작품으로 승화시킨 행복한 완벽주의자 였다.

그렇기에 완벽주의자가 자기를 잘 파악하여 단점을 극복하는 것에 대한

조사들이 도움이 되리란 확신이 들었다.

악순환의 고리를 빠져나가기 위하여 목표달성을 활용하여 목표보다 달성과정을 융통성 있게 조절하고 실패를 긍정적으로 재해석 할 줄 알 때 비로소 높은 기준을 유지하면서도 자기 비난의 악순환에 빠지지 않고 새롭고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힘을 가질 수 있다.

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부과 완벽주의자들과 그들의 높은기준, 정돈, 불일치에 대한 설정

지나친 염려, 정리 정돈습관, 부모의 기대, 비판, 높은 성취 기준, 의심의 사례등을 통해 완벽주의를 구성하는 요소를 보며 완벽주의자들을 이해 해본다

전반부는 완벽주의에 대한 이해에 초점두고 설명을 해준다면

후반부에는 완벽주의를 실질적으로 활용해서 타인을 이해하는 도구로 이용하는

실전팁을 습득하도록 해준다.

 

나를 분석해보기 위해 MBTI 검사를 해보고 나름 나의 유형을 살펴보며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완벽주의자들의 성향의 부정적인 것들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솔루션처럼

나를 위한 솔루션을 더 받아보고 싶은 마음이 가득해진다.

서로 다른 성격유형을 통해 나의 성향을 더 잘 이해하고 타인의 눈에 내가 어떻게 보일지

예상해봄으로 내 행동을 수정할 수 있고 타인의 이해되지 않는 행동에 대한 추론을 통한 이해 그리고 상대방의 행동을 예측해 봄으로서 주변 사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다 보면 성향차이에 의한 다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것이란 기대를 해본다.

 

자기평가소재와, 자기조절초점이라는 두가지 기준을 적용을 통한 한국인의네가지 유형도

재미있었다

 

변화하려면 자신을 존중하고 자기가 지닌 능력을 자각하고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

을 가져야 한다고 한다.

 

어떤 유형이든 완벽하지 않지만 강점은 더욱 돋보이게 약점은 보완하면 변화 할 수 있다.

 

자신이 믿는 만큼 변화할 수 있다를 기억하며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 보자

 

[이 글은 흐름출판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네명의완벽주의자 #이동귀 #손하림 #김서영 #흐름출판 #책과콩나무 #도서협찬 #서평도서 #완벽주의자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