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각각의 과학 윤리 사례들은 공동의 이익을 위해서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렇게 사례들을 보면서 무엇이 옳은 가에 대해서 독자들은 윤리 의식이 스며들것이라고 본다. 또한 다른 점에서 보면 과학 윤리로 명시적으로 기술하게 되면 옳은 일, 바른 일에 대해서 명확하게 인지된다
과학 윤리라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합의 그리고 절차라는 것도 있을 것이다. 최근 모 연구단장님이 절차상으로 배임 혐의가 유죄가 되어서 국가 관련직을 내려 놓았다. 윤리라는 절차를 사람들이 쉽게 보면은 가끔은 우리 사회는 인재의 잃는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 그것은 어쩔 수 없지만 있기 마련이고 아쉽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