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가 또 추가 됐군요.
아무래도 표준어가 규범어다보니, 보수적이고, 현실 언어를 바로 반영하지 못하고 뒤늦게 반영하는 경향이 짙었지요, 또 예전에는 맞춤법 개정을 해서 표준어 원칙을 새롭게 하거나 추가하고 삭제했던 것 같은데, 최근에는 '표준어 추가 시정'을 통해서 추가하는가 하면 복수 표준어를 인정하는 추세로 나아가는 모양이에요.
이번에 새롭게 추가되는 낱말을 보니, 표준어가 아니라고 생각했던 낱말이 표준어인 사례도 심심치 않네요. '구안와사'가 표준어라고 생각했는데 아주 생소한 '구안괘사'가 표준어였네요. 많이 알려져 있던 '구안와사'가 이번에 추가로 표준어가 됐구요. '삐지다'도 표준어가 아니었다가 이번에 기존의 '삐치다'와 함께 복수 표준어가 된 경우구요.
새롭게 추가된 표준어 모두 13개 어휘라고 하니 아래를 보고 참고하세요.
............................................................................................................................................
[티브이데일리 김한길 기자] 비표준어로 분류된 13개 어휘가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은 15일 '2014년 표준어 추가 시정안'을 발표하고 추가 인정된 표준어 13개를 반영했다.
표준어로 추가 인정된 13개 어휘 중 현재 표준어와 같은 의미는 5개다. '삐지다' '눈두덩이' '구안와사' '초장초' '굽신거리다' 이다.
또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이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는 8개 어휘다. '놀잇감' '개기다' '사그라들다' '속앓이' '허접하다' '딴지' '섬찟' '꼬시다'가 이에 해당한다.
기사 전문: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4121521001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