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eBook]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룰루 밀러 저/정지인 역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자연 속 아주 작은 것에도 관심을 가지던 평범한 소년이 여러 번의 고난을 겪은 뒤에도 승승장구하던 과정, 그리고 자신이 믿는 무언가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되었던 자기 기만의 모습, 그리고 우생학에 깊은 신념을 가지고 끔찍한 일이 벌어지는 것을 조장(?) 했던 이야기.

작가는 그 이야기를 통해, 그리고 결과적으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이야기를 통해 과학적 믿음, 자기 기만의 위험함, 그리고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혹은 보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많을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선택에 대해, 손가락질하고 구분하려는 사람들에 대한 일침일 수도 있겠다. 물론 그것보단 포괄적인 이야기를 했겠지만,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괴로워하고, 권총을 끊임없이 생각하는 작가의 모습이 중간중간 그려졌으니 그 지분이 작진 않겠다.

과학자와 과학계 이야기를 재미있게, 그리고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끌어내기 위해 상당히 똘똘하게(?) 흐름을 잡고 쓰신듯하다. 누구나 함께 분노하고,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도록.

그런데 대체, 마지막까지 읽고 난 감동, 이런 건 어디 있었을까. 난 뭔가 반전이 있는 줄 알았는데...ㅋㅋ 대체 이런 책에선 어떤 반전이 있을 수 있는지 기대했잖아.

재미있고, 신선했다. 이 책으로 변화도 있었으니 뿌듯하실 듯.!

하지만 갈길이 멀다...

*밑줄

혼돈은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이라는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 일어나는가'하는 시기의 문제다. 이 세계에서 확실한 단 하나이며, 우리 모두를 지배하는 주인이다.

"인간의 육체적 본성이...어류에 뿌리를 두고있다는 것을 모르면, 인간이 얼마나 낮은 곳까지 내려갈 수 있고 도덕적으로는 얼마나 졸렬해질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아가시가 충격적이라고 느낄 만큼 인간과 유사한 어류의 골격 구조(작은 머리, 척추골, 갈비뼈를 닮은 돌출 가시)는 '인간'에 대한 경고였다.

어쩌면 그는 무언가 핵심적인 비결을 찾아냈을지도 몰랐다. 아무 약속도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서 희망을 품는 비결, 가장 암울한 날에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비결, 신앙 없이도 믿음을 갖는 비결 말이다.

목적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꿔놓았다.

'어쩌면 아무것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르지.' '아뇨, 존재해요. 아무것이란 것은 존재해요.' 그러고는 의문의 여지없는 현실을 찾느라 두리번거리더니 의기양양하게 덧붙였다. '예를 들면 호박 같은 것도 존재해요.'"

"무지는 세상에서 가장 유쾌한 학문이다. 아무런 노동이나 수고 없이도 습득할 수 있으며, 정신에 우울함이 스며들지 못하게 해주니 말이다."

"나는 바라는 목표를 향해 끈질기게 일하고 그런 다음 결과를 차분히 받아들이는 데 익숙해졌다. 나아가 나는 일단 일어난 불운에 대해서는 절대 마음 졸이지 않았다."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지속적으로 오만을 복용하는 것이야말로 실패할 운명을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는 증거인지도 모른다.

바로 이런 점들이 내가 우생학자들에 대해 그토록 격노하는 이유다. 그들은 이런 그물망의 가능성을 상상조차 하지 못한다. 그들은 애나와 메리 같은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를 풍요롭게 만들 수 있고, 자신들이 받은 빛을 더욱 환하게 반사할 수 있는 이 실질적인 방식들을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

그것은 나에게 경이로운 효과를 발휘했다. 그 상상은 무신론자에게는 가장 금기시되는 판타지로 내 피부를 콕콕 찔러댔다. 어찌 된 건지는 모르겠지만, 저 밖, 혼돈의 차가운 수학 속에 결국 일종의 우주적 정의가 존재한다는 판타지 말이다.

애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렇다면 물고기에 대해 연민이 느껴진다고 했다. 일단 무언가에 이름을 붙이고 나면 더 이상 그걸 제대로 바라보지 않게 된다는 사실에 대한 연민이었다.

"성장한다는 건,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말을 더 이상 믿지 않는 법을 배우는 거야."

물고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이 세계에 관해 아직 모르고 있는 것은 또 뭐가 있을까? 우리가 자연 위에 그은 선들 너머에 또 어떤 진실이 기다리고 있을까? 또 어떠 범주들이 무너질 참일까?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