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 장 365 인문학 달력

[도서] 하루 한 장 365 인문학 달력

김종원 저/소소하이 그림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력 하나를 소개해드릴까 해요.

요즘은 연말이 되면 다양한 캐릭터나 좋은 문구들이 있는

일력들이 나오고 있지요.

저도 유독 탐나는 일력들이 있어서, 먼저 준비해뒀었는데,

그 이후로 이 달력이 나와서 얼마나 안타까웠는지 몰라요.

처음에는 다른 일력들처럼 한 해만 쓰고 뜯어 버리는 일력인 줄 알았는데,

이번에 서평으로 받고야 알았답니다.

만년 달력이라는 것을!!

아, 그래서 지금이라도 서평을 의뢰하셨구나 했지요 ㅎㅎㅎ

보면 더 탐낼까봐 나온 것만 보고 보지 않았었는데 말이죠 ㅋㅋ

 

처음에 #청림라이프 에서 표지 관련 투표도 하고 해서 기억이 나요.

이 돌고래.

달력 상자인데, 아이가 돌고래를 타고 별빛을 여행하는 그림이라니.

이 달력의 가장 큰 장점은 #선물 하기에 좋은 거죠!

아이를 키우는 엄마라면 그 누구에게든 선물하기에 최고입니다.

#선물추천

친구나 지인들에게 선물하기에 참 좋아요.

사실 만년달력인지 몰랐을 때는 그러기엔 이미 6월이니 반 이상이 지나서 좀 그렇다 싶었는데,

#만년달력 이라 오래도록 볼 수 있으니까 말이에요.

 

#소소하이 그림작가님은 이 달력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는데,

#육아맘 #일러스트작가 님이시더라고요.

그래서 그림이 이렇게 따뜻한가? 하며 괜히 의미 부여하기도 했어요.

??

 

 

이 달력의 글은 #김종원작가 님이 쓰셨답니다.

#아이를위한하루한줄인문학 시리즈 작가이기도 하시죠.

평소에 꽤나 좋아하는 작가님의 달력이라 당연히 더 좋은 건 말할 필요가..

당연히 전권 보유하고 있으니, 달력까지 합쳐지니 완벽하네요.

다 가진 자입니다 ㅋㅋㅋㅋ

 

각 달마다 컨셉이 있어요.

그 달에 맞는 내용을 전해주시기도 하시고요.

이번 달은 6월, 진리의 달이랍니다.

이 부분도 허투루 쓰여져 있지 않은.

그 달의 키워드로 안고 갈 수 있게 해주어서 더 좋아요.

 

개인적으로 좋았던 문장인 3월 18일 / 6월 3일 이 글을 쓰는 날의 내용이에요.

한 문장이지만, 그 울림이 크답니다. 

언제나 문장 하나 하나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아한답니다.

책보다 부담이 적고, 

단 한 문장이라도 하루종일 가지고 생각해볼 거리를 주시기에,

책을 좋아하지 않으시는 분들에게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보시다시피 요일과 년이 기재 되어 있지 않아요.

#미라클모닝#아침루틴 이 다시 유행인데요,

아마 우리 엄마들도 많이 시도하시는 것 같아요.

#명상 #운동 등 저도 하고 있는데,

여기에 #독서#필사 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부담되지 않는 필사 내용으로 이 달력만한 게 없는 것 같아요.

하루를 마무리하거나 시작하면서 한 두 줄 꾹꾹 눌러 쓰며

우리 아이와 나, 그리고 우리 가정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된답니다.

상반기, 하반기로 나눠져 있어요.

그래서 6월이 지나가면 그 뒷면이 7월부터 시작하게 되죠.

일력은 365일을 포함하고 있어야 해서,

얇은 종이를 사용하고, 가볍고 최대한 튼튼하고 무겁게 해야 하죠.

이 달력은 위쪽이 링으로 되어 있길래 의외다 싶었는데,

만년달력이기도 하지만,

뒷면이 7월부터 12월까지 하반기를 담고 있어서 그렇더라고요.

앞 뒤로 돌려보며 복습도 하고, 예습도 하고??

그리고 이렇게 인증하기에 을매나 좋다고요 ㅋㅋㅋㅋ

네네 #설정샷 이긴 하지만,

SNS에 인증하시기에 이만한 게 없지 않을까 싶어요.

엄마만의 책상 대신에 식탁을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을텐데요,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때

시작할 때 이 달력을 올려는 것으로

시간을 온전히 쓰겠다는, 혹은 #엄마시간 을 위한

하나의 신호로 만들어도 좋을 것 같아요.

많은 분들이 잘 활용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D%BC%EB%A0%A5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B2%AD%EB%A6%BC%EB%9D%BC%EC%9D%B4%ED%94%84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84%A0%EB%AC%BC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84%A0%EB%AC%BC%EC%B6%94%EC%B2%9C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B%A7%8C%EB%85%84%EB%8B%AC%EB%A0%A5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86%8C%EC%86%8C%ED%95%98%EC%9D%B4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C%A1%EC%95%84%EB%A7%98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D%BC%EB%9F%AC%EC%8A%A4%ED%8A%B8%EC%9E%91%EA%B0%80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A%B9%80%EC%A2%85%EC%9B%90%EC%9E%91%EA%B0%80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5%84%EC%9D%B4%EB%A5%BC%EC%9C%84%ED%95%9C%ED%95%98%EB%A3%A8%ED%95%9C%EC%A4%84%EC%9D%B8%EB%AC%B8%ED%95%99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B%AF%B8%EB%9D%BC%ED%81%B4%EB%AA%A8%EB%8B%9D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5%84%EC%B9%A8%EB%A3%A8%ED%8B%B4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B%AA%85%EC%83%81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A%B4%EB%8F%99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B%8F%85%EC%84%9C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D%95%84%EC%82%AC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84%A4%EC%A0%95%EC%83%B7
https://blog.naver.com/PostListByTagName.nhn?blogId=grayemilio&encodedTagName=%EC%97%84%EB%A7%88%EC%8B%9C%EA%B0%84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