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를 만지지 않아요
육월식
비룡소
그림책을 통해 아들과 마음을 교유하고 위로와 용기를 얻고 있는 요즘, 코로나 시국을 담은 그림책에 시선이 머물렀다. 바로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육월식 작가의 <친구를 만지지 않아요>이다. 그림책의 이야기를 바라보며 칸막이, 마스크, 거리두기를 하며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비춰보게 된다.
코로나 시대에 그림책이 전하는 위로의 방식
<친구를 만지지 않아요>는 길쭉이 선인장네 학교로 동글이 선인장이 전학을 오며 펼쳐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선인장 친구들의 모습이지만 투명 칸막이가 쳐진 학교 생활, 만져서도 안 되고 마스크 착용이 필수인 그림책의 장면에서 요즘 우리 모습과 똑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길쭉이가 동글이 머리에 새둥지가 있는 것이 신기하고 궁금하여 만지면서 사건이 전개된다. 선생님께 혼이 난 두 친구 사이를 초록새가 날아다니며 마음 사이를 이어준다. 텅빈 놀이터에서 함께 놀고, 쿠키를 나눠 먹으며 한걸음 더 가까워진다.
그림책 표지를 처음 봤을 땐 뾰족한 가시가 있는 선인장 친구들의 모습에 마음이 따끔했다. 서로 가시를 품고 있어 가까이 하기도 어렵고 다정하게 손을 건넬 수도 없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하지만 그림책을 읽으면서 마음 한켠이 따뜻해졌다. 만질 순 없어도 가까이할 순 없어도 ‘마음’만큼은 주고 받을 수 있고, 언제든지 따뜻한 온기를 담아 가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함께 읽은 초등생 아들은 학교 생활도 그렇고 친구 사이에서 많은 공감을 받았다고 했다. 칸막이에 마스크를 쓰고 힘들게 사는 모습이 어떻게 생각하면 2100년도의 먼 미래의 이야기 같은데, 코로나로 우리가 살고 있는 모습과 똑같다며 더 마음으로 공감을 하였다.
그림책 <친구를 만지지 않아요>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바로 서로 그네를 타고 밀어주는 장면이었다. 무채색이었던 세상에 서로의 마음이 가닿자 초록으로 번지는 그 빛깔에 코끝이 찡해졌다. 비록 안전문제로 거리는 두고 살아야 하지만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이 있다면, 이 험난한 세상이라도 변화할 수 있고, 온기로 채울 수 있다고 그림책에서 배우고 마음을 다독여본다.
본문의 구성도 글자없는 그림책으로 말없이 선인장 친구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거닐어 보는 시간이 참 좋았다. 절제된 문장 덕분에 마음에 더욱 집중하고 생각해볼 수 있었다. 지금 그림책에서 친구들은 어떤 기분이 들까? 어떤 생각을 할까? 아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그림책 친구들의 마음이자 요즘을 사는 초등생 아이의 마음 한켠을 바라볼 수 있어 감사하였다.
연일 코로나 확진 소식이 기록 경신을 하듯 마음을 쓸어내리게 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림책이 전하는 위로와 용기를 함께 나누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