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크로스로드

[도서] 크로스로드

조너선 프랜즌 저/강동혁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조너선프랜즌의 책은 처음이다.
전작 ‘인간수정’을 향한 그에 대한 평가-극찬 에서 어떤 필력을 가졌기에 그런 찬사를 받을지 매우 궁금했다.
책을 읽으며 심리학자가 아닐까 할 정도로 등장인물들에 투영되어 표현 된 그의 섬세한 표현력은 캐릭터들이 책속에서 살아움직이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 극한의 감정들- 질투, 욕정, 불안, 결핍, 연민, 자기혐오, 애증들이 어느하나 어색하지 않게 설득력있고 입체적으로 그려졌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읽으며 느꼈던 인간감정의 다양성과 복잡한 심리의 묘사를 프랜즌의 소설을 통해 또 한번 느꼈다.

책에서 가장 위대하게 느껴진 캐릭터는 역시 처음부터 가장 흥미로웠던 엄마 매리언이다. 매리언은 소설 초반에 불운한 성장시절과 현재 자신에게 닥친 현실에 신경과민 여성으로 변신해 무너지는 것 처럼 보여지지만 자신이 품었던 욕구는 허황된 상상이라는 것을 깨닫고 놀랍도록 멋지고 차분하게 가정으로 돌아와 용서와 사랑을 보여준다. 일부 독자들에게는 다소 불편하게 생각될 수도 있다고도 생각되지만 엄마들의 헌신과 자식에 대한 사랑 그 위대함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알기에, 그리고 누구나 잃어버린 것, 잊고산것에 대한 후회를 할 수 있으니까! 매리언의 감정에 존중과 박수를 보내주고 싶었다. 소설의 끝무렵 클렘에게 보낸 편지만 봐도 그녀의 온 가족에 대한 무한한 사랑이 올곧이 느껴졌다.

인간은 누구나 여러겹의 페르소나를 가지고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페르소나를 절제하며 살아갈 수 있는 것은(절제가 아니라 숨긴다는 표현이 더 맞을지도 모르겠다.) 우리에게 지성과 이성과 통제력이 있기 때문일테지. 책에서 작가에 의해 철저하게 까발려진 힐데브란트 가족의 내면도 사실은 지금 우리 곁에 살아가는 나,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감정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느낄 수 있는건 자유이며 누구나 자유롭게 생각하고 상상할 권리는 있으니까. 다만 윤리와 도덕적 잣대가 주는 보편성이라는 기준에 맞춰 살아가는 현대 사람들에게는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어쨌든 우리는 모두가 다르지만 또한 다양성을 존중하며 사회적으로 살아야 하는 인간이기에!!- 그러므로 인간내면의 다양한 심리적 갈등과 변화를 이토록 훌륭하게 표현한 크로스로드는 어마무시한 두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가 꼭 읽어야 하는 필독서라고 생각된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