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곁말/숲노래 말빛
곁말 72 긴낮
어릴 적에 어머니는 상냥하면서 어진 길잡이(교사)였습니다. 요새는 배움터 길잡이(학교 교사)가 어린이를 마구 때리거나 괴롭히는 짓이 사라졌다지만, 지난날에는 배움터에서 길잡이한테 뭘 물어볼 수 없었어요. 아주 무섭고 사나웠거든요. 어머니한테 여쭈면 “얘, 너희 학교 선생님들은 안 가르쳐 주니? 왜 늘 엄마한테만 묻니?” 하시지요. “몽둥이를 들고 노려보는데 무서워서 어떻게 물어봐요. 모르면 모른다고 때리는걸요.” “아유, 할 수 없지. 그래서 뭐?” 어느 날은 “‘하지’하고 ‘동지’가 뭐예요?“ 하고 여쭙니다. “하지랑 동지? 학교는 그런 절기도 안 가르치니?” “아직 책(교과서)에 안 나오는걸요.” “여름에 낮이 가장 길어서 ‘하지’이고, 겨울에 밤이 가장 길어서 ‘동지’야. 그러니까 긴낮이 하지이고, 긴밤이 동지이지.” “아, 그런 한자로구나. 그러면 ‘긴낮’하고 ‘긴밤’이라 하면 알기 쉬울 텐데요.” 왜 철눈(절기節氣)를 굳이 한자말로만 엮어야 할까요? 어린이부터 알기 수월하고 누구나 곧바로 알아차리도록 우리말로 쉽게 엮도록 마음을 기울이고 생각을 할 만하지 않을까요? 지난날 우리 어머니한테서 들은 말을 되살려 오늘은 저 스스로 어버이로서 우리 아이들한테 철빛을 사근사근 들려줍니다.
긴낮 (길다 + ㄴ + 낮) : 낮이 길고 밤이 짧은 날이나 때.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을 가리키기도 한다. ( ← 하지夏至, 하짓날)
긴밤 (길다 + ㄴ + 밤) : 밤이 길고 낮이 짧은 날이나 때.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을 가리키기도 한다. (= 깊밤. ← 동지冬至, 동짓날)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