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세 치 혀’란 말로, 뛰어난 말재주를 가리킨다. 삼촌설(三寸舌)이라고도 한다.

 

《사기》〈평원군우경열전(平原君虞卿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기원전 257년 서쪽 강국 진(秦)나라가 조나라 수도 한단을 포위하자, 조나라 왕은 평원군(平原君)을 남방의 초나라로 보내 구원병을 요청하는 맹약을 체결하게 하고자 했다. 평원군은 문무를 겸비한 20명의 인재를 뽑으려 했고 19명은 선발했으나 맨 마지막 한 명이 문제였다.

 

그러자 3년 동안 눈에 띄지 않던 식객 모수(毛遂)란 자가 나타나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평원군을 탓하면서 자신은 주머니 속의 송곳(낭중지추囊中之錐) 수준이 아니고 송곳의 자루 수준이라고 호기롭게 자천(自薦)하는 것이었다. 주머니는 평원군이고 자루는 물론 모수요, 송곳의 끝은 다른 식객들의 하찮은 재주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의 무례는 하늘을 찌를 법했다. 그런데도 평원군은 모수를 일행에 끼워 넣었다.

 

초나라 왕을 찾아간 평원군은 밤새워 담판을 벌였으나 오만방자한 초왕의 태도로 인해 새벽까지 결말이 나지 않았다. 그래서 나머지 식객들도 초조하게 문밖에서 서성거릴 뿐이었다. 그러자 모수가 칼을 잡고 초왕에게 달려가 이렇게 말했다.

“왕께서 저를 꾸짖는 것은 초나라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열 걸음 안에는 초나라 사람이 많아도 왕께서 의지할 수 없으며, 왕 목숨도 제 손에 달려 있습니다(王之所以叱遂者, 以楚國之衆也. 今十步之內, 王不得恃楚國之衆也, 王之命縣於遂手).”

모수의 이 말에 초왕은 합종의 맹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모수가 돌아왔을 때 평원군이 말했다.

“나는 다시는 감히 선비를 고르지 않겠다. 내가 지금까지 고른 선비는 많다면 천 명이 되고 적어도 백여 명은 될 것이다. 나는 스스로 천하의 선비를 잃은 적이 없다고 생각해왔는데 이번 모 선생의 경우에는 실수했다. 모 선생의 세 치 혀는 군사 백만 명보다도 강했다(勝不敢復相士. 勝相士多者千人, 寡者百數. 自以爲不失天下之士, 今乃於毛先生而失之也. 毛先生以三寸之舌, 彊於百萬之師).”

결국 평원군은 모수를 중용하여 상객으로 삼았다.

 

연횡가로 유명한 장의의 ‘시오설(視吾舌)’이란 말도 ‘내 혀를 보라’는 말로 변설로 천하를 움직일 수 있음을 비유한다. 고조 유방을 만나 변설로 설득시킨 역이기나 사로잡힌 고조를 도운 후공의 ‘삼촌설(三寸舌)’도 유명하다.

 

고사성어 사전 : 한마디의 인문학

김원중 편저
휴머니스트 | 2020년 02월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