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9. 로만 야콥슨 (Roman Jakobson, 1896~1982)

《음운론연구》(Phonological Studies, 1962)

 

 

 

1

로만 야콥슨이 언어학자로서 기여한 점은 첫째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접과학에 다른 어느 학자보다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둘째 그의 연구영역의 폭이 넓다는 것, 그중에서도 현재 구조주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야콥슨의 문학적 활동은 놀라울 만큼 광범위하여 일반언어학과 일반음운론은 말할 것도 없고, 슬라브언어학, 슬라브문학, 비교운율학, 비교신화학, 아동언어, 언어병리학, 언어심리학 그리고 정보이론에 이르기까지 그 폭넓은 활동은 비할 데가 없다.

 

그 시야의 넓이와 독창적인 견해, 그리고 날카로운 통찰력에 분석력과 종합력이 탁월하여 판단의 균형이 잡혀 있는 점 등에서 현대의 가장 뛰어난 언어학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야콥슨은 1896년 러시아의 모스크바에서 출생, 모스크바에서 대학교육을 받고 1차 대전 후 러시아를 떠나 체코의 프라하로 이주한다.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가 나치 독일군에 점령되자 덴마크로 피하고, 다음에는 노르웨이,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제국에 2년 동안 머물다, 1941년 미국으로 건너가 줄곧 그곳에서 활약하다 1982년에 타계했다.

 

프라하 시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학문적 활동으로는 1926년 마테시우스(V. Mathesius), 카르체브스키(K. Karcewski), 트릉카(B. Trnka)와 더불어 프라하언어학회를 창립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는 이 학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미국으로 건너가서는 1942년부터 46년까지 뉴욕의 고등학술연구소의 언어학 교수로 재직했는데, 이 때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C. Levi-Strauss)를 알게 된다. 이 두 사람의 만남은 뒤에 큰 의의를 가지게 된다. 레비-스트로스는 뒤에 구조인류학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지게 되는데 그의 구조주의는 실은 야콥슨의 영향을 받아 싹트게 된 것이다.

 

1949년에는 하버드대학으로 초빙되어 슬라브어ㆍ문학 및 일반 언어학 교수가 되고 57년부터는 MIT의 교수도 겸직하며 눈부신 활동을 한다. 야콥슨이 미국에 온 것, 특히 하버드대학에서의 활동은 미국언어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미국의 언어학계는 그를 통해서 프라하언어학파의 이론에 접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촘스키(N. Chomsky) 등 많은 젊은 세대의 언어학자들이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야콥슨의 저술은 거의 전부가 길고 짧은 논문으로, 그것도 여러 논문집에 발표되어 그 대부분은 현재 쉽게 구할 수 없다. 그러한 탓으로 그의 사상의 전모를 파악한다는 것은 퍽 어려운 일이다. 또한 그의 학문적 사상이 발달해 가는 흐름도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다행히도 80년대 그의 저작선집이 7권으로 출판되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 그의 학문적 발전을 엿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내용을 보면 그의 연구영역이 얼마나 넓은가를 족히 알 수 있다. 선집의 내용은 (1) 음운론 연구, (2) 낱말과 언어, (3) 문법의 詩와 시의 문법, (4) 슬라브 서사시 연구, (5) 운문과 그 창시자들, (6) 슬라브 중세기와 문화적 유대, (7) 미상으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음운론연구》 (Phonological Studies)는 특히 중요하다. 여기에는 길고 짧은 30여 편의 논문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의 언어학 연구 활동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들이다. 다음에는 이에 의해서 야콥슨의 핵심적인 이론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2

1927~28년 프라하에서 기초하여 29년에 발표된 그의 러시아어 음운변화에 관한 논문은 러시아어 음운체계 전체의 변천사에 관한 구조주의적 고찰로서 획기적인 것이다. 소쉬르(Saussure)의 혁명적인 ‘공시언어학’이란 사상을 실현하는 동시에 그의 ‘통시언어학’의 개념을 크게 수정한 것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음운발달사의 새로운 길이 열리게 된다.

 

야콥슨의 구조주의적 음운론의 주안점은 음운이라는 음운론적 최소단위를 인정하는 동시에 그것을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다루지 않고 그들 음운간의 관계, 그리고 각 음운과 전체 체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그들이 이루는 체계와 그 체계 내에 있어서의 각 음운의 위치를 밝히려는데 있었다. 그리고 일반언어학의 분야에서도 구조주의적 방법을 언어구조의 모든 면에 적용하려고 시도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러시아어 동사 분류에 관한 논문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그가 스칸디나비아 여러 나라에 머무는 동안에 집필한 유명한 논문 「유아어와 실어증과 일반음운법칙」(Kindersprache, Aphasie und allgemeine Lautgesetz)은 여러 면에서 주목되고 있다. 야콥슨에 의하면 어린이가 음운을 습득하는 순서는, 어느 언어를 습득할 경우라도 공통적이고 일정하다. 예를 들면 모음 a·i·u, 자음 p·m·t·n은 대체로 이런 순서로 습득되는데, 이들 모음과 자음은 어느 언어에도 있다. 한편 어느 언어에만 특유한 음은 유아가 가장 늦게 습득한다고 한다.

 

그런데 더 흥미가 있는 것은 실어증 환자가 제일 먼저 발음할 수 없게 되는 음은 어린이가 가장 늦게 습득하는 음이고, 또 어린이가 가장 먼저 습득하는 음은 실어증 환자가 가장 늦게까지 발음할 수 있는 음과 일치한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어린이의 언어습득에 관한 연구와 실어증에 관한 연구는 언어의 음운체계를 지배하는 법칙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면 야콥슨에게 왜 이러한 연구가 필요했던가? 그의 학문적 활동에서 그가 일생을 두고 추구한 것은 양분대립(兩分對立)의 원리이다. 그는 변별적 음성특질은 극단적인 두 특질에 의해서 대립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양극적인 음성 특질을 찾아서 음운을 분석하고 그 대립체계를 확립하려고 했다. 그런데 이러한 음성 특질의 양극성에는 어떤 보편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 음운유형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마치 음악에서 음이 오선 상에서 서로 대립하는 것처럼 음운에서는 두 선상에서 그 변별적 특징의 두 항이 양극적으로 대립한다.

 

야콥슨은 또한 이 양극적인 2항 대립은 인간의 지각 작용이나 유아의 언어습득 또는 실어증 등 여러 가지 각도에서 입증하려고 한다. 어린이가 자기 언어의 음운체계를 습득하는 데는 일정한 단계가 있는데, 먼저 인간의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양극적인 대립음운부터 습득하기 시작하며 또한 실어증에서는 그 순서가 반대라는 것이다.

 

어린이의 언어습득 과정에서 보면 모음에서는 먼저 자모음 /a/가 나타나고 또 자음에서는 양순폐쇄음 /p/가 나타난다(papa). 그 다음에는 구강음과 비음의 대립이 나타나고(papa, mama), 다시 양순음과 치음의 대립이 나타난다(papa/tata, mama/nana, 여기서 어린이들이 아버지와 어머니를 papa, mama라고 부르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야콥슨의 양극적 양분대립의 원리가 발전하게 된다. 이 이론에 의해서 보편적인 음운대립의 틀을 확립한 것이 그의 유명한 「어음분석 시론」(Preliminaries to Speech Analysis, MIT Press, 1951)이다.

 

3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언어학자와 인류학자가 공동으로 토의하기 시작하면서 두 학문은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언어학은 그 시야를 넓히게 되고 언어학과 기호학, 언어학과 커뮤니케이션이론, 언어학과 정보이론, 언어학과 시학 등의 상호 관계를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하게 되었다. 야콥슨이 이러한 연구의 선구적 역할을 한 것이고, 또한 야콥슨의 영향을 받은 레비-스트로스는 구조인류학을 건설했다.

 

야콥슨은 프라하시대 이후 언어의 모든 요소는 하나의 체계를 이루며 이 체계를 찾는 것이 언어학자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이와 같이 표면에 나타나는 것 뒤에 존재하는 심층의 체계 혹은 구조를 발견한다는 것은 레비-스트로스가 인류학에서 친족관계의 연구를 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야콥슨의 학문적 영향을 지대하지만, 그는 종합적인 개론서나 단행본으로 그의 학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지는 않았다(음운론에 관한 몇몇 공저를 제외하고). 그러므로 그의 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로만 야콥슨 칠순기념논문집』(To Honor Roman Jakobson, Ⅰ~Ⅲ, The Hague: Mouton, 1967)의 제1권 권두에는 야콥슨이 저술한 논저의 일람표가 있다. 이 일람표를 보면 그의 학문적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논저의 수가 475편에 이르고 있어 그가 얼마나 정력적인 학자였는가를 말해주고 있다. 475편 중 374편이 논문이고 101편이 신문, 잡지의 기사 또는 서문, 서평 등이다.

 

연대적으로 이 일람표를 분석해 보면 시기적으로 그의 초점이 어디에 있었는가를 알 수 있어 흥미롭다. 예컨대 1939년까지의 그의 업적은 3/4이상이 문학과 시에 관한 것으로 언어학에 관한 논문은 그 사이에 산재하고 있다.

 

이러한 비율은 미국에 이주한 뒤에는 눈에 띄게 달라진다. 그의 저서 중에서 순수한 언어학적인 것은 모두 짧고 수도 많지 않다. 슬라브 제어와 비교한 러시아어의 음운변화에 관한 고찰이 고유한 언어학적인 논문으로서는 가장 긴 것이다.

 

이와 같이 그의 업적의 특징은 그 주제의 풍부함과 다양성에 있다. 그의 일관된 흥미 대상은 언어학 이외에 시와 문학이었고, 특히 어떤 학문적 자극이 있으면 곧 활동하는 학자였다고 평하는 사람도 있다.

 

특히 반세기에 걸쳐 무언인가가 새롭고 중요한 것이 등장하면 곧 그것을 언어학과 연결시키려는 면도 있었다고 평하고 있다. 그는 또한 공동 연구에서 그의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그의 논저 중에서 약 30편이 공동 연구의 결과이다. 1928~39년 사이 그 생산적이었던 활동의 비밀도 실은 프라하학파에서의 공동 연구에 있었다고 한다.

 

[로만 야콥슨의 저작]
·Remarques sur l'evolution phonologique du russe comparee a celle des autres langues slaves. Prague, 1929 (Annotated English translation by Ronald F. Feldstein: Remarks on the Phonological Evolution of Russian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Slavic Languages. MIT Press: Cambridge, MA and London, 2018.)[13]

·K charakteristike evrazijskogo jazykovogo sojuza. Prague, 1930

·Child Language, Aphasia and Phonological Universals, 1941

·On Linguistic Aspects of Translation, essay, 1959

·"Closing Statement: Linguistics and Poetics," in Style in Language (ed. Thomas Sebeok), 1960

·Selected Writings (ed. Stephen Rudy). The Hague, Paris, Mouton, in six volumes (1971?1985):

  I. Phonological Studies, 1962

  II. Word and Language, 1971

  III. The Poetry of Grammar and the Grammar of Poetry, 1980

  IV. Slavic Epic Studies, 1966

  V. On Verse, Its Masters and Explores, 1978

  VI. Early Slavic Paths and Crossroads, 1985

·Questions de poetique, 1973

·Six Lectures of Sound and Meaning, 1978

·The Framework of Language, 1980

·Fundamentals of Language(공저), 1956

·The Sound Shape of Language(공저), 1979

·Pomorska K., Dialogues, 1983

·Verbal Art, Verbal Sign, Verbal Time (ed. Krystyna Pomorska and Stephen Rudy), 1985

·Language in Literature,( ed. Krystyna Pomorska and Stephen Rudy), 1987

·"Shifters and Verbal Categories." On Language. (ed. Linda R. Waugh and Monique Monville-Burston). 1990. 386-392.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