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당신을 이어 말한다

[도서] 당신을 이어 말한다

이길보라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많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책이다. 나 역시도 여성이자 청년이며, 다양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존재이기에 어떤 한 가지 특징으로 날 규정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깨어있는 사람'이 되고자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걸 하느라 계속 뒷전으로 미루지는 않았나 반성하게 된다. 저자가 영화감독이기도 하다보니 문화콘텐츠를 즐기는 나의 기호에 대해서도 되돌아보게 되었는데, 여러모로 괴롭기도 했다. 책의 경우에는 여성 작가들의 책을 즐겨 읽는 편이지만, 즐겨보는 뮤지컬의 경우에는 선호하는 작품이 주로 남성 2, 3인극이기 때문에 생각이 많아진다. 내가 좋아하고 재밌어서 보는 것이지만, 내가 해당 극들을 즐겨보는 만큼 '여성서사' 작품들을 보지는 않기 때문이다. 내 한정된 예산을 내가 보고 싶은 공연에 쏟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항상 마음 한 켠에는 이런 죄책감이 응어리져 있다. 이 점은 내가 계속 안고 가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기는 하다.

책을 읽는 내내 계속 내 스스로에 대한 무력감이 많이 느껴지고, 나는 너무 편협한 시각 속에 갇혀 편히 살려하지는 않았는지 계속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름 노력을 했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책의 페이지가 잘 넘어간 것과는 다르게 내 마음 속은 너무 보갑해졌다. 사실 글을 쓰는 것도 너무 어렵게 느껴진다. 과연 이렇게 써도 되는 걸까? 내 생각을 이렇게 밝혀도 되는 걸까? 내 스스로를 끊임없이 의심하게 된다. 내가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끊임없는 의심뿐만 아니라, 내가 더이상 대학생이 아니게 되는 날이 코앞으로 다가오니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도 끊임없이 커져만 간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으며 힘을 얻어가는 부분은, 이것은 단지 나 혼자만 고민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었다. 앞서 읽었던 『이상한 정상가족』에서 언급했듯이, 사회가 개인을 지탱해줄 필요가 분명히 있다는 사실이다. 내가 단지 나약하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필요한 점이라는 사실이다.

'우리 모두는 각자의 질문과 그에 따른 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하고 경험하고 도전하고 모험하는 중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여러 차례의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응원해주는 사회가 아닐까? 한국 사회는 사회 구성원이 생애주기에 따라 시도와 도전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을까? 결과만을 강조하는 시장 경쟁의 가치에 입각해 ‘성공'만을 강요하고 있는 건 아닐까? 특정한 가치만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요구하고 있는 건 아닐까?'(p.250)

이 부분을 보며 나도 다시금 마음을 다잡게 되었다. 앞으로 나아가는 길에 서서 나 스스로에 대한 불확실함과 혼란스러움을 느끼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버티며 나아가보려고 한다. 저자가 말했듯, 나도 저자를 이어 말하고, 쓸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