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성과관리

[도서] 성과관리

류랑도 저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성과 관리' 라는 개념을 처음 들어보아서 궁금해서 읽게된 책이다. 성과를 관리한다는 것이 리더십과도 관련이 있을 것도 같고, 조직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개념이 아닐까 싶었다. 팀원으로 일하는 나에게도 도움이 되는 정보들이 꽤 많았는데, 어떻게 일을 계획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었다. 

책에서는 '실적'과 '성과'의 차이를 먼저 짚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두 단어를 혼용해서 쓴다. 실제로, 두 단어가 다른 의미라는 구절을 읽고 나서 잠깐 생각해보았는데 쉽게 그 차이를 떠올릴 수 없었다. 실적은 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열심히했는지 노력의 정도를 계량화한 것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성과는 사전에 기대했던 것에 대한 결과이다. 즉, '기획된' 결과는 성과라고 부를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결과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관리 또한 업무계획서가 아니라 성과기획서가 된다. 

성과 관리를 위해서는 일하는 기준이 과제 자체가 아니라 원하는 결과물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과 목표가 되어야 한다. 우리가 성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네 가지를 들 수 있는데, 개념과 당위성에 대한 이해 부족, 리더의 미진한 역할행동, 일정중심으로 돌아가는 업무방식, 공정하지 못한 보상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아직 일을 해본 경험이 오래 되지는 않았지만 가끔씩 일부 포인트들을 느낄 때도 있다고 생각한다. 

성과 관리는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다. 핵심 과제 설정, 성과 목표 설정, 성과목표 달성전략 수립, 성과목표 실행, 성과평가와 피드백이 바로 그것이다. 성과 관리의 여러 단계에 대해 살펴보면서, 우리가 간과하기 쉽지만 모든 단계에서 현황파악이 참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현재 상황을 잘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 계획을 세우거나 피드백하는데에 중요한 것이다. 추가로 인상깊었던 파트 '월간 목표는 1/12가 아니다'까지 꼽아보며.. 조직 리더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성과관리 #류랑도 #책콩 #책콩리뷰단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