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서울대 인문학 글쓰기 강의

[도서] 서울대 인문학 글쓰기 강의

이상원 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책 표지를 꼼꼼히 보지 않았다. '인문학적 글쓰기'란  어떤 것일까를 생각하며 선택한 책인데, '글쓰기' 강의가 아니라 서울대에서 진행한 '글쓰기 강의'를 소개한 책이다. 이런 실수. 그렇지만 재미있게 잘 읽었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는 못했지만 나중에 '책 읽기', '글쓰기'같은 수업을 해보고 싶은데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이나 단계별 수업 진행의 팁을 얻을 수 있었고, 수업의 목표, 의도와 그에 따른 사례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저자가 진행한 '인문학 글쓰기'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나를 소개하는 글', '감상 에세이', '주제 에세이' 등 총 3편의 글을 쓰게 된다. 각각 1쪽, 3쪽, 5쪽 이상으로 학생들이 쓴 글들은 ETL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게시판에 올려 공개하고 각 글마다 사전에 지정독자를 두며 지정독자는 반드시 자신이 맡은 글을 읽고 답글을 달도록 했다. 지정독자가 아닌 학생들도 계획발표한 글들 중 두,세편을 선택하고 자신이 선택한 글에는 답글을 달아야 하며, 글쓴 학생은 답글을 고려하여 발표하면 된다. 이렇게 하는 동안 학생들은 자신의 '글'도 세 편씩 써내야 하지만 자신이 독자로 맡은 글에도 답'글'을 써야 한다. 또한 답글을 달기 위해 정해진 글을 꼼꼼히 읽어야 함은 물론이고, 수업 전에는 그 날 발표할 글들도 미리 읽어야 한다. 그야말로 쓰기 위해 읽고, 읽기 위해 쓰는 행위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구조다.

 

15쪽>

  인문학 글쓰기 수업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다 함께 쓰고 다 함께 읽기'가 될 것이다

 

19쪽-23쪽>

  새로운 글쓰기 경험을 위해 내가 만들어둔 1) 첫 번째 장치는 학생들 스스로 원하는 소재를 잡아 원하는 형식으로 쓸 수 있도록 최대한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다.

  2) 글을 억지로 짜내는 고통을 줄이기 위해 글의 소재와 형식에 대한 구상을 동료들 앞에서 발표하는 기회도 갖는다.

  3) 글마다 두 명씩 지정독자가 정해지는데  이 또한 새로운 글쓰기 경험을 위한 장치다.

  4) 글쓰기 경험 못지 않게 우리의 글쓰기 강좌에서 중요한 경험은 글읽기이다.

  5) 글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이야기 나누기는 글쓰기 강좌가 목표로 삼는 또 다른 경험이다. 우리의 글쓰기 강좌에서는 글을 바탕으로 소통을 극대화하려 애쓴다. 글에서는 모호했던 생각이 질문을 통해 구체화된다. 독자들의 이견이 쏟아지는 부분에서는 미처 고려하지 못했던 점을 새로 고민하게 된다.

  6) 이렇게 이야기를 나눈 후 학생들은 자기 글을 수정한다. 그리고 수정본 또한 일방적인 전달로 그쳐서는 안 되겠기에 다시 한 번 답글 달기 과제를 부과한다.

 

  저자는 자신의 글쓰기 강의에서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반대로 고려하지 않는 요소, 즉 배제하는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또 이 수업을 진행하며 선생으로서 자신이 배운 것들에는 무엇이 있는지도 써내려 간다. 무엇보다 강의를 진행한 저자 이상원 교수의 솔직한 마음도 책 곳곳에서 읽을 수 있었다. 일방적인 강의식이 아니라 전적으로 학생들이 주도하도록 하기 위해 이런 저런 방법들을 고심하고 철저히 조력자의 역할을 자처한 저자는 가르치는 행복, 스스로 성장해가는 학생들을 바라보는 감사를 잊지 않고 기록하고 있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