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휘메일 리스크 FEMALE RISK

[도서] 휘메일 리스크 FEMALE RISK

한상복,박현찬 공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세계경기의 불황으로 인하여 기업들은 많은 것을 성력 화하는 경향을 띄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유사 이래로 남자와 여자의 역할이 구분이 명확하게 되어서 원시시기를 살펴보면 남자는 사냥을 여자는 육아와 살림을 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가 팽배해져 있었으며 모든 생활패턴이 산업화과정을 겪을 때까지 이어져 왔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남자와 여자의 습성으로 인한 문화가 달라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잔존을 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산업화가 융성됨에 따라 광고라는 것이 일반인들에게 소개가 되고 요즘은 광고홍수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환경까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세계경기를 주도한 세대는 뭐니 뭐니 해도 세계2차 대전 후에 출생한 베이비붐세대임이 분명합니다. 이 베이비붐세대의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접근하는 것이 기업의 성장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것입니다.

 

 

최근 세계 여러 나라나 대한민국이나 소비의 주최자, 즉, 구매의사결정자는 당연히 여자임이 분명합니다. 그런 여심을 어떻게 흔들 것인가가 하나의 이슈가 됨은 물론입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여자가 사고하는 방향성을 연구하고 그에 맞는 개념을 잡으면 절반의 성공을 이룬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흔히, 남자는 과정보다는 결과중심적사고를, 여자는 과정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뇌의 구조도 의사소통(정보)의 경로가 남자보다는 여자가 훨씬 발달이 되어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여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삶에 있어서 무척이나 중요한 과제가 된 것도 사실입니다.

 

 

요즘의 세태가 모계사회로의 진전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하게 되는 것은 여자가 대부분 의 구매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어서도 피부로 더 체감이 되고 있습니다.이런 의미에서 꼭 경제라는 틀안이 아니라 모든 생활에 있어서 남녀 서로가 이해하려는 환경이 무척 중요할 것입니다. 다른 사고를 가진 남녀의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풍요로운 생활을 전개할 수 있다는 것을 느껴보고 있습니다.

 

 

2013.12.30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