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뮈 #1
"오늘, 엄마가 죽었다."라는 강렬한 첫 문장으로 시작되는 『이방인』을 쓴 작가, 알제리와 파리의 이방인으로 살았던 카뮈의 발자취를 찾아 클(래식)클(라우드)호를 타고 여행을 떠나려 한다. 카뮈는 『이방인』의 미국판 서문에서 "이 책의 주인공은 유희(어머니의 장례식에서 울어야 하는 것)에 참가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죄 선고를 받았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라고 썼다고 한다. 책에 따르면 주인공은 가장 적게 말함으로써 가장 많이 말하는 독특한 인물로서 그의 과묵함은 진실을 말하지만 그 진실로 인해 위협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은 사회가 그에게 유죄 선고를 내렸다는 해석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카뮈는 보들레르의 시를 즐겨 암송했다고 한다. 보들레르의 작품 가운데에도 「이방인」이라는 시가 있음을 알게 된다. 별난 이방인이 사랑한 것은 다름 아닌 신비롭게 흘러가는 구름이다. 문득 해바라기가 부른 「뭉게구름」이라는 노래가 떠오른다. 이 땅의 끝에서 뭉게구름으로 피어올라 하늘 끝에서 다시 빗방울이 되어 땅으로 내려온다는 노랫말처럼 구름의 여정을 닮은 삶을 꿈꾸는 이방인을 상상해본다.
수수께끼 같은 친구여, 말해보게.
너는 누구를 가장 사랑하는가? 아버지, 어머니, 누이, 형제?
나에겐 아버지도, 어머니도, 누이도, 형제도 없소.
친구들은?
당신은 이날까지도 내가 그 의미조차 모르는 말을 하는구려.
조국은?
그게 어느 위도 아래 자리 잡고 있는지도 모르오.
미인은?
불멸의 여신이라면 기꺼이 사랑하겠지.
황금은 어떤가?
당신이 신을 싫어하듯, 나는 황금을 싫어하오.
그렇군! 그렇다면 너는 도대체 무엇을 사랑하는가, 별난 이방인이여?
나는 구름을 사랑하오······ 흘러가는 구름을······ 저기······ 저 신비로운 구름을!
(샤를 보를레르, 「이방인」)
이 땅이 끝나는 곳에서 뭉게구름이 되어
저 푸른 하늘 벗 삼아 훨훨 날아 다니리라
이 하늘 끝까지 가는 날 맑은 빗물이 되어
가만히 이 땅에 내리면 어디라도 외로울까?
(해바라기 노래, 「뭉게구름」 가사)
[출처 : 해바라기 - 뭉게구름 (1976年), https://youtu.be/mI6YRo5DsK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