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제(聖誕祭)
어두운 방 안엔
바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
애처로이 잦아드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
아버지가 약(藥)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 오신
그 붉은 산수유(山茱萸) 열매 ---
나는 한 마리 어린 짐승.
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에
열(熱)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
이따금 뒷문을 눈이 치고 있었다.
그날 밤이 어쩌면 성탄제(聖誕祭)의 밤이었을지도 모른다.
어느새 나도
그때의 아버지만큼 나이를 먹었다.
옛 것이란 거의 찾아볼 길 없는
성탄제(聖誕祭) 가까운 도시(都市)에는
이제 반가운 그 옛날의 것이 내리는데
서러운 서른 살 나의 이마에
불현듯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느끼는 것은,
눈 속에 따 오신 산수유(山茱萸) 붉은 알알이
아직도 내 혈액(血液) 속에 녹아 흐르는 까닭일까.
김종길. 시집 ≪성탄제≫ (1969)
크리스쳔은 아니지만 눈발이 미끄러질 때마다 생각나는 詩이다. 이 시는 아빠의 사랑에 관한 그것이다. "이제 반가운 그 옛날의 것이 내리는데, 서러운 서른 살 나의 이마에 불현듯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느끼는 것은," 아빠와 함게 했던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지, 심지어 자연물이더라도 그 때의 기억으로 그리운 추억을 삼는다. 나의 아빠도 자식을 위한 것이라면 어떤 일이라도 마다하지 않으셨다. 그 고마움은 절대로 잊지 못하고 당신보다 더 나은 부모가 될 수 있은 것인지 솔직히 자신이 없다.

<安東 金公 祝文>
어제가 아빠 기일이었다. 어렸을 때 생전의 아빠는 새벽에 저 멀리 산 꼭대기 너머로 이제 막 나오는 태양을 보고 정한수 한 모금 드시고 인사를 하고 나지막하게 소원을 빌었다. 태양은 희망이자 간절함이었다. 저녁에 뜨는 별과 달은 하루 일을 마치고 좁은 농노를 따라 집으로 돌아올 때 날마다의 안전함을 기원하는 안도감이었다. 그 때 태양과 달과 별은 아주 많은 것을 담고 있는 가치적 존재들이었다. 지금도 태양과 달과 별은 그때 그 자리에 있는데, 저는 아침마다 태양을 보거나 밤에 특별히 하늘을 보며 달과 별을 찾지 않는다. 대신에 책을 읽고 생각을 가다듬는다. 마음은 아빠 때나 저나 큰 차이가 없겠지만 바라보는 대상이 달라졌다. 아니 희망을 걸고 기대는 대상이 많아졌다. 그러함에도 그때의 아빠들보다 낫다고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