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입력2015.03.28 07:15
1. '경영의 모험(The business Adventure)', 존 브룩스 저
빌 게이츠는 1991년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추천으로 이 책을 접했다. 그는 "내가 읽어 본 경영서 중 최고"라며 "이 책은 40년 전에 출간됐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비즈니스의 기본에 대해 날카로운 통찰력을 준다"고 평가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세계 지식인의 축제' 테드 콘퍼런스(TED Conference)에 참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 빌 게이츠는 참석자들을 위해 책 6권을 추천했다. 이 가운데 한국어로 출간된 책은 현재까지 '경영의 모험'과 '새빨간 거짓말, 통계' 2권뿐이어서 아쉬움이 남는다.
1. '경영의 모험(The business Adventure)', 존 브룩스 저
빌 게이츠는 1991년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추천으로 이 책을 접했다. 그는 "내가 읽어 본 경영서 중 최고"라며 "이 책은 40년 전에 출간됐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비즈니스의 기본에 대해 날카로운 통찰력을 준다"고 평가했다.
↑ /그래픽=유정수 디자이너
2. The Bully Pulpit, 도리스 컨스 굿윈 저
'사회는 어떻게 변화할까? 오로지 좋은 영향을 주는 리더만으로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 혹은 다른 요소들로 성공의 기틀을 마련해야 할까?' 역사가 도리스 컨스 굿윈(Dorris Kearns Goodwin)은 미국 시어도어 루스벨트(26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27대) 전 대통령 연구를 통해 이같은 물음을 던졌다. 책은 루스벨트 대통령의 경우 언론의 도움으로 개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책은 루스벨트 전 대통령과 언론의 관계, 그의 친구였던 태프트 전 대통령 등이 어떻게 정치환경을 개혁하는 데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고 있다. 게이츠는 저자 굿윈의 또 다른 책 '권력의 조건'(Team of Rivals)도 추천했다. 이 책은 링컨 전 대통령을 다루고 있다.
3. On Immunity, 율라 비스 저
책은 아이들의 예방접종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루머들을 다루고 있다. 수필가 율라 비스는 이 책을 학문적 이유가 아니라 '엄마'의 역할을 다 하기 위해 이 주제를 선택했다. 게이츠는 "유려하고 아름다운 문체가 돋보이는 이 책은 최근에 부모가 된 모든 이들에게 좋은 선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4. Making the Modern World, 바츨라프 스밀 저
"역사가 바츨라프 스밀은 살아있는 작가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의 책을 모두 읽었다." 게이츠는 스밀을 이같이 평가했다. 스밀은 시멘트, 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종이 등 현대 생활에서 필수가 된 소재들을 연구했다. 책은 믿기 힘든 통계들을 나열하고 있다. 예컨대 중국이 단 3년 동안 소비한 시멘트의 양은 미국이 20세기 동안 사용한 양보다 더 많다.
5. How Asia Works, 조 스터드웰 저
경제 저널리스트인 조 스터드웰은 개발경제학(development economics) 측면에서 두가지 커다란 질문에 복잡한 대답을 내놨다. '어떻게 일본, 대만, 한국, 중국은 지속적이고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했는가?', '왜 이처럼 경제성장을 해낼 수 있는 나라는 거의 없을까?' 이 질문에 대해 저자는 3가지 답을 제시했다. 첫째, 소작농들이 번영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했다. 둘째, 농업으로 얻은 이익을 공장을 짓는데 사용했다. 이로 인해 수출용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셋째, 정부는 금융기관과 함께 농업분야를 육성했다.
6. '새빨간 거짓말, 통계'(How to lie with Statistics), 대럴 허프 저
게이츠는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이 '투자자들에게 좋은 책'으로 추천해 이 책을 접했다. 게이츠는 이 책이 1954년에 처음 출간됐으나 전혀 시대에 뒤처지지 않는다고 표현했다. 게이츠는 "어떻게 시각물이 과장된 트렌드와 왜곡된 비교를 할 수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며 "지금 시기에 딱 적절한 책"이라고 평가했다. 요즘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수많은 그래픽 등이 떠돌아다니고 있기 때문.
저자는 이 책을 '통계로 사기 치는 방법을 알려 주는 입문서'라고 표현한다. 표본, 평균, 오차, 그래프 등을 이용하면 멋지게 사기칠 수 있다는 뜻이고 반대로 우리가 사기를 당하고 있다는 의미도 있다. 정보 전달의 일차적 목표를 간과한 채 오용, 남용되고 있는 통계수치에 현혹되지 않는 법을 제시하고 있다.
방윤영 기자 byy@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