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 태어나고 존재하지만 어느 순간 나는 사라지고 나를 부르는 이름,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충실하게 된다. 아이였을 때에도 학생이었을 때에도 나는 조금씩 사라지고 만다. 그러다 사회인이 되고 결혼이라고 하게 되면 누군의 남편, 아내, 아빠, 엄마, 며느리, 사위로 완전히 변한다. 자의가 아닌 타의 혹은 강제적으로 말이다. 누군가 선택했으니 그만큼의 책임이 따른다고 할지도 모른다. 여성의 경우 아이를 낳으면 모성애까지 부여된다. 그러나 모성애는 준비땅 하면 바로 완성되는 게 아니다. 그러니 출산과 양육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