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펜스 룰(Pence rule)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2002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아내가 아닌 다른 여성과는 절대 단둘이 식사하지 않는다'는 자신의 철칙을 소개했습니다. 여성과의 접촉을 의도적으로 피함으로써 불필요한 스캔들, 오해를 미리 방지한다는 취지입니다. 그의 이름을 딴 '펜스 룰'을 두고 '신중한 처신'이란 평과 '성차별'이란 평이 나뉘고 있습니다. 


최근 '미투 운동(#MeToo.나도 성폭력 피해자)'이 불붙으면서 '펜스 룰'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투'에 연루되지 않기 위한 예비책으로 '펜스 룰'을 따라하는 남성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직장에서 여성과 단둘이 있는 상황을 아예 만들지 않겠다는 것인데, 직장에서 여성에게 또 다른 장벽을 만든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고르디우스의 매듭(Gordian knot)


고다 프리기아의 왕 고르디우스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고르디우스 왕이 전차를 신전에 봉인한 후 복잡한 매듭으로 묶어두었습니다. 그리고 매듭을 푼 사람은 아시아를 정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남겼습니다. 많은 사람이 매듭 풀기에 도전했지만 실패하였습니다.


하지만 훗날 알렉산더 대왕은 이 매듭을 푸는 것이 아니라 단칼에 잘라버린 뒤 아시아를 정복합니다. 이후 '대담한 방법을 써야 풀리는 난제'란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3월 14일 청와대는 북한의 비핵화와 그에 따른 종전(終戰) 선언, 평화협정 문제를 단계적이 아닌 일괄 타결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끊어버리는 방식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조선일보 2018.3.16.(금)

-------------------------------------------


'펜스 룰'이 아니라, 행동을 하는 '사람'에 초점을 두어야 할 듯 합니다. 잘못된 질문은 올바른 답을 끌어내기 어려우니까요.



급한 불은 꺼야겠지만 반짝 타결이 되지 않도록 북한과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면서 한 단계씩 밟아갔으면 합니다. 미국을 통해 해결해 온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기회로 삼아, 근본적인 문제를 한민족끼리 풀어가는 첫 걸음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6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별이맘

    우문현답이십니다. 비꼬인 시선으로 또다른 상처를 받지 않았으면 해요.. 아직도 풀어할 숙제들이 많은 것 같네요. 국가 안팎으로 쌓여가는 난제가 지혜롭고 현명하게 잘 풀리기를 희망해봅니다^^

    2018.03.16 12:11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이루

      별이맘님~ 과찬이십니다*^^* 결코 쉽지 않은 길이지만 지치지 않고 꾸준히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일은 한꺼번에 일어나는 경향이 있어 힘들지만, 우리 모두가 힘을 보태고 있으니 하나씩 잘 풀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2018.03.16 23:15
  • 파워블로그 모나리자

    펜스 룰도 좀 그렇네요. 그런 상황을 아예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피곤해서 오래 갈 것 같진 않네요. 이런 저런 상황 속에서도 배려와 깨끗한 처신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2018.03.16 13:53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이루

      그쵸? 피한다고 해결될 문제였다면 일이 이렇게 커지지도 않았겠지요. 지금의 이 흐름이 하나의 붐으로 끝나지 않고, 이해와 배려를 바탕으로 한 올바른 사회문화로 자리잡는 한 걸음 한 걸음이길 간절히 바랍니다.

      2018.03.16 23:23
  • 파워블로그 책찾사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없기에 극과 극으로 치닫는 대결의 구도만 격화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좀더 문제에 대하여 신중하게 접근하고, 대화를 모색하는 자세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

    2018.03.16 15:36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이루

      오랜 시간 참고 또 참으며 견디어 온 시간들이 있어 쉽지는 않을 듯 합니다. 피해자를 '천재'라고 말하며 자신의 어리석음을 스스로 증명하는 가해자도 있으니 큰 문제이고요. 북한과의 관계에서는 차분한 마음가짐으로 조심스럽게 접근하되, 대화의 목적을 분명히 하며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2018.03.16 23:31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