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 왕공족(王公族)
한일병합조약 제3조에 근거하여 순종과 그 직계에 대해서는 왕족으로, 방계는 공족으로 규정.
일본 황족과 동등한 예우를 받고 '전하'라는 존칭을 사용하도록 규정.
작위 |
수작자 |
습작자 |
비고 |
공족 |
흥친왕 이희(李熹) |
이준용(李埈鎔)- 이우(李鍝) |
고종의 형. 이재면에서 이희로 개명. 운현궁 1917년 의친왕의 차남 이우[이준용의 양자]가 작위 습작 |
의친왕 이강(李堈) |
이건(李鍵,) |
고종의 다섯째 아들. 사동궁. 상해망명
실패 후 여행의 자유 박탈당함. 1919년 대동단 총재 명의로 독립선언서 공포. 1921년 대한민국 대표단 독립청원시 황족대표로 서명. 1930년 장남 이건에게 작위 습작. 이건은 1955년 일본으로 귀화. |
2. 조선 귀족
1910년 일본 황실령 14호 "조선귀족령"이 공포되면서 종친, 문지(門地), 훈공이라는 기준에 따라 선정된 고위급 인물들을 후작, 백작, 자작, 남작에 봉작. [공작(公爵)의 작위는 존재하지 않음]
일본 화족(華族)과 동등한 예우를 받도록 규정.
작위 |
수작자 |
습작자 |
비고 |
후작 |
이재완(李載完) |
이달용(李達鎔) |
종친. [사도세자의 현손]. 완순군. |
이재각(李載覺) |
이덕용(李德鎔) |
종친. [사도세자의 현손]. 의양군. |
|
이해창(李海昌) |
이덕주(李德柱) |
종친. 경원군 이하전의 양자. |
|
이해승(李海昇) |
종친. 청풍군 |
||
윤택영(尹澤榮) |
윤의섭(尹毅燮) |
순종의 장인. 일명 부채왕 1928년 파산 선고후 작위박탈 1935년 차남 윤의섭이 습작. but 장녀 순정효황후[순종의 처, 1894~1966]는 오빠인 윤홍섭을 통해 내탕금 10만원을 임정 설립 자금 지원. 장남 윤홍섭도 부채에 시달렸으나 일제의 회유를 거부. |
|
박영효(朴泳孝) |
박찬범(朴贊汎) |
철종의 부마. |
|
백작 |
이완용(李完用) |
이병길(李丙吉) |
을사5적. 정미7적. 경술국적. 1920년 후작으로 승작. but 장남 이승구(李升九, 1880~1905)는 애국 계몽 운동에 참여했으나 자손없이 요절. 차남 이항구의 첫째 아들 병길이 이승구의 아들로 입양하여 습작. |
이지용(李址鎔) |
이영주(李永柱) |
종친. 고종의 5촌 조카. 을사5적. 경술국치후 도박에 빠져 가산 탕진. 작위는 양손자가 습작. |
|
민영린(閔泳璘) |
순종의 처남. 1919년 아편 흡입으로 징역3월, 집행유예 3년 선고 받고 작위 박탈. |
||
자작 |
송병준(宋秉畯) |
송종헌(宋鍾憲) |
정미 7적. 1920년 백작으로 승작 |
고영희(高永喜) |
고희경(高羲敬) - 고흥겸(高興謙) - 고중덕(高重德) |
정미 7적. 경술국적. 1920년 백작으로 승작 |
|
이완용(李完鎔) |
이택주(李宅柱) |
종친. 사도세자의 5대손. |
|
이기용(李埼鎔) |
종친. 고종의 5촌 조카. |
||
박제순(朴齊純) |
박부양(朴富陽) |
을사5적. 경미국적 박제순의 손자 박승유(朴勝裕, 1924~1990)는 일본군을 탈출, 광복군에 합류하여 대일 선전활동 참여. 독립유공자로 서훈. (애족장) |
|
조중응(趙重應) |
조대호(趙大鎬) - 조원흥(趙源興) |
정미7적. 경술국적. |
|
민병석(閔丙奭) |
민홍기(閔弘基) |
경술국적. |
|
이용직(李容稙) |
한일병합조약(1910)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다가
쫓겨남. 3.1 운동때 독립청원서
제출로 작위 박탈 |
||
김윤식(金允植) |
한일병합조약(1910)에 소극적으로
반대 3.1 운동때 독립청원서
제출로 작위 박탈, 투옥 |
||
권중현(權重顯) |
권태환(權泰煥) |
을사5적. |
|
이하영(李夏榮) |
이규원(李圭元) |
||
이근택(李根澤) |
이창훈(李昌薰) |
을사5적 |
|
임선준(任善準) |
임낙호(任洛鎬) - 임선재(任宣宰) |
정미7적. |
|
이재곤(李載崑) |
이해국(李海菊) |
정미7적. 이재곤의 셋째 아들 이관용(李灌鎔, 1894~1933)은 제2차 국제사회주의자 회의[=만국사회당 회의]에 조소앙(趙素昻, 1887~1958)과 함께 참석하여 한국사회당 명의로 ‘한국독립승인결의안’을 제출, 통과시켰다. 귀국후 신간회 간사로 활동하다가 광주학생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가출옥 상태에서 익사하였다. 독립유공자로 서훈.(애국장) |
|
윤덕영(尹德榮) |
윤강로(尹强老) |
경술국적. 윤택영의 형 |
|
조민희(趙民熙) |
조중수(趙重壽) - 조용호(趙龍鎬) |
경술국적. |
|
이병무(李秉武) |
이홍묵(李鴻默) |
정미7적. 경술국적. |
|
이근명(李根命) |
이충세(李忠世) - 이종승(李鍾承) |
을사조약에는 반대 상소, 후에 친일파로 전향 |
|
민영규(閔泳奎) |
민병삼(閔丙三) |
||
민영소(閔泳韶) |
민충식(閔忠植) |
|
|
민영휘(閔泳徽) |
민형식(閔衡植) |
본인은 휘문고 설립 양자인 민형식은 올사오적 암살단에 거액의 자금 지원, 신민회에 가입. |
|
김성근(金聲根) |
김호규(金虎圭) |
||
남작 |
윤용구(尹用求) |
거절 |
|
홍순형(洪淳馨) |
헌종비 효종왕후의 조카. 거절 |
||
김석진(金奭鎭) |
거절.
경술국치후
자결. |
||
한창수(韓昌洙) |
한상기(韓相琦) - 한상억(韓相億) |
이왕직 장관 등을 역임하면서 덕혜옹주 일본 유학과 결혼을 강요. |
|
이근상(李根湘) |
이장훈(李長薰) |
||
조희연(趙羲淵) |
사망하면서 작위 반납 |
||
박제빈(朴齊斌) |
박서양(朴敍陽) |
박서양의 양자 박승방이 습작을 거부하고 항일운동에 자금지원하여 체포됨. |
|
성기운(成岐運) |
성주경(成周絅) - 성일용(成一鏞) |
||
김춘희(金春熙) |
김교신(金敎莘) - 김정록(金正祿) |
||
조동희(趙同熙) |
조중헌(趙重獻) - 조원세(趙源世) |
1921년 작위 박탈. but 1934년 조중헌이 습작 |
|
박기양(朴箕陽) |
박승원(朴勝遠) - 박정서(朴禎緖) |
황무지개척요구(1904)와 을사조약에는 반대 상소, 후에 친일파로 전향 |
|
김사준(金思濬) |
의친왕의 장인. 1915년 해외독립조직과의 연계가 발각되어 작위 박탈.
징역 1년 선고. 복역 중 사망. |
||
장석주(張錫周) |
장인원(張寅源) |
||
민상호(閔商鎬) |
민영욱(閔泳頊) |
||
조동윤(趙東潤) |
조중구(趙重九) |
||
최석민(崔錫敏) |
최정원(崔正源) |
||
한규설(韓圭卨) |
거절 but 혼수상태에
있던 절친 이봉의의 아들이 작위 수령여부를
물었을 때, 나라에서 주는 것이니 그냥 받으라고 하고, 자신은 거절했다. 이 일로 이봉의 집안과 절교하게 되었다고 한다. |
||
유길준(兪吉濬) |
거절 |
||
남정철(南廷哲) |
남장희(南章熙) |
||
이건하(李乾夏) |
이범팔(李範八) - 이완종(李完鍾) |
||
이용태(李容泰) |
이중환(李重桓) |
||
김병익(金炳翊) |
1919년 아편 흡입으로 작위 박탈. |
||
민영달(閔泳達) |
거절 |
||
민영기(閔泳綺) |
민건식(閔健植) - 민병억(閔丙億) |
||
이종건(李鍾健) |
이풍한(李豊漢) |
||
이봉의(李鳳儀) |
이기원(李起元) - 이강식(李康軾) - 이홍재(李弘宰) |
아들 이기원이 대리 수령 |
|
윤웅렬(尹雄烈) |
윤치호(尹致昊) |
아들 윤치호가 1913년 105인 사건 주모자로 체포되어 작위 박탈 |
|
이근호(李根澔) |
이동훈(李東薰) |
이근택과 이근상의 형 |
|
김가진(金嘉鎭) |
의친왕 이강을 상하이로 탈출시키려 했던 대동단 사건과 연루되어 있으며, 본인과 아들 부부 모두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정에 참여. but 공식적인 작위 박탈이나 반납이 없어서 독립유공자로 인정 안된 것으로 알려짐. |
||
정낙용(鄭洛鎔) |
정주영(鄭周永) - 정두화(鄭斗和) |
||
민종묵(閔種默) |
민철훈(閔哲勳) - 민규현(閔奎鉉) - 민태곤(閔泰崑) - 민태윤(閔泰崙) |
을사조약에는 반대 상소, 후에 친일파로 전향 습작자 중 민태곤은 1941년 도쿄에서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고문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독립유공자로 서훈.(애족장) |
|
이재극(李載克) |
이인용(李寅鎔) |
종친. |
|
이윤용(李允用) |
이병옥(李丙玉) |
이완용의 이복형 |
|
이정로(李正魯) |
이능세(李能世) |
||
김영철(金永哲) |
김영수(金英洙) - 김용국(金容國) |
||
이용원(李容元) |
이원호(李原鎬) - 이창수(李彰洙) |
||
김종한(金宗漢) |
김세현(金世顯) |
||
조정구(趙鼎九) |
흥선대원군의 둘째 사위. 거절 |
||
김학진(金鶴鎭) |
김덕한(金德漢) |
을사조약에는 반대 상소, 후에 친일파로 전향 |
|
박용대(朴容大) |
박경원(朴經遠) |
||
조경호(趙慶鎬) |
흥선대원군의 맏사위. 거절 |
||
김사철(金思轍) |
김석기(金奭基) |
||
정한조(鄭漢朝) |
정천모(鄭天謨) |
||
이주영(李胄榮) |
이규환(李圭桓) - 이경우(李卿雨) |
||
민형식(閔炯植) |
자식이 모두 아편 중독자 또는 전과자라서 습작이 불가능했던 것으로 추정 |
||
이항구(李恒九) |
이병주(李丙周) |
이완용의 차남. 1924년에 유일하게 신규 수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