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신화, 사랑을 이야기하다

[도서] 신화, 사랑을 이야기하다

최복현 저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3점

신화, 인간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이야기라고 한다. 그렇기에 신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의 본질을 이해한 것과 마찬가지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다.

 

“인간은 사랑의 아픔을 반복해서 겪으면서도 왜 끊임없이 사랑에 목말라 하는 것일까? 그 해답은 신들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 로마의 신화 속에 등장하는 신들의 사랑은 우리네 사랑과 너무나 닮아 있다. 신들이라고 해서 그들의 사랑이 고결한 것만은 아니다. 이성간의 사랑은 물론이려니와, 스토커처럼 맹목적인 사랑, 비극을 불러오는 근친상간. 결국 파행으로 치닫는 불륜, 사랑의 또 다른 유형인 동성애까지. 그들의 사랑은 이렇듯 우리와 어느 것 하나 다를 바 없다. 신들은 자신의 모습의 인간을 창조했고, 인간은 신들의 모든 것을 본받아 그들과 같은 사랑을 나누고 있는 것이다.”

신화를 읽다 보면 그것은 신들의 이야기 라기 보다는 인간 세상의 사랑 이야기 같다. 단지 인간과 다른 것은 신은 인간이 가질 수 없는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통해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고 조정할 수 있다는 것 뿐이다. 그러나 신화에 나오는 신들이 인간처럼 보이는 것은 그들도 인간처럼 고통을 당하기 때문이다. 자기 꾀에 넘어가는 신의 모습이 재미있지 않은가.

책에는 신들이 보여준 사랑의 기술, 질투, 시기, 오해, 열정 등 온갖 다양한 사랑의 모습들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책을 읽다 보면 그 내용들 속에서 잠시 잊었던 내 모습과 내 이웃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우리 자신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그려 놓은 신화이기 때문이다.

책 내용 중에 시선을 끈 이야기가 몇 개 있다.

첫 번째는, 뭣 모르고 에로스를 무시하다가 짝사랑에 빠져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게 된 아폴론의 이야기다.

어느 날 아폴론은 어린 에로스가 가진 작은 화살을 비웃는다. 에로스는 그런 아폴론이 괘씸해 그에게는 사랑의 화살을, 아름다운 다프네에게는 납 화살을 쏜다. 그리고 아폴론은 괴로운 짝사랑을 시작한다. 이 이야기의 끝은 무엇인가? 아폴론은 고통스러운 줄 알면서도 사랑의 마음을 억제하지 못하고, 다프네는 자신의 감정 조차도 알지 못한 채 아폴론을 피해 결국은 나무로 변해버린다. 남은 것은 월계수 하나. 나무 이야기 하나를 만들기 위해 위대한 전사와 사랑스러운 여인을 희생시킨 건가?

두 번째는 우연으로 시작된 에로스와 프시케의 이야기다.

인간과 신을 통틀어 최고의 미녀였던 아프로디테를 능가한 여인 프시케, 그녀를 벌주라고 보낸 아프로디테의 아들 에로스가 반해 버릴 정도의 미녀였다. 그러나 프시케는 그녀를 시기한 언니들로 인해 에로스가 하지 말하는 것, 즉 자신의 얼굴을 보지 말라,을 어김으로써 사랑을 놓쳐버린다. 사랑을 잃어버린 그녀는 그것을 되찾기 위해 신전으로 갖고, 거기서 아프로디테의 무리한 요구를 이행함으로써 결국엔 에로스와 결혼을 한다. 물론 그 전에 여자의 호기심을 참지 못해 깊은 잠에 빠져버리기는 했지만. 어쨌든 아무리 신이라 해도 진정 사랑을 얻겠다는 각오 앞에서는 어쩔 수 없나 보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아폴론과 디프네는 왜 이런 사랑을 맺지 못했을까?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