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수잔 디렌데(Susan diRende) | 김이숙 지음 | |
장르 | 자기계발 | |
ISBN | 9788931007459 03740 | |
발행일 | 2013-08-20 (초판) | |
제본 형태 / 판형 | 소프트 커버 / A5 (148X210) - 국판 | |
페이지수 | 368 | |
정가 | 16,000원 |
*
[한국경제 매거진] 수잔 디렌데 교수와의 대화
<미국 유학 성공법> 미국 유학, 가장 효과적인 준비는? “읽고, 읽고, 또 읽기!”
《미국 교수의 기초 영문법 강의》 서평 이벤트 참여법
선정인원 : 10분 기간 : ~ 9월 8일 (발표 9일)
선정되신 분께서는... |
책소개 |
영어로 읽고 쓰고 말하고 생각하기를 도와주는 미국대학 교수의 특별한 영어 강의! 영어 공부, 이제 책을 한번 바꾸어보라 영문법의 기초적인 내용은 이미 중고등 교육 과정에서 모두 배운다. 하지만 ‘과거분사’니 ‘미래완료’니 하는 복잡한 규칙들을 실제 상황에서 재빠르게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중고등학교의 아카데믹한 교육 환경에서는 가만히 교실 의자에 앉아 선생님이 불러주는 영어 문법을 달달 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교육 환경은 영어 문장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사고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현실 상황에서 자유롭게 말하고 싶은 것, 쓰고 싶은 것을 순간적으로 떠올리게 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인이 어려서부터 자연스레 한국어를 익히듯 영어를 가르치지 않는 탓이다. 이번에 마이북스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미국 교수의 기초 영문법 강의》는 이처럼 교실에 앉아 배우는 딱딱한 영어 문법의 단점을 지적하며 능동적이고 자유롭게 배울 수 있는 영문법을 소개한다. 이 책은 기존 영문법 책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무엇보다 시험 점수를 올리거나 독해를 빨리 할 수 있는 비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또한 영어 문법을 쉽게 암기하는 공식을 알려주는 책도 아니다. 이 책은 원어민처럼 영어로 사고하고 느끼고 상상하고 이해하며 영문법을 몸에 익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실제로 이 책의 저자는 미국에서 유학하는 한국 학생들을 다년간 지도하고 있는 미국대학 교수로,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국제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저자는 한국 학생들이 영문법에 대한 지식을 많이 알아도 실제 상황에서 제대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 좌뇌를 중심으로 공부하는 학생들의 습관이라고 지적하면서 양쪽 뇌를 통합한 자유로운 학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영어를 통해 사물과 장면에 대한 이미지를 상상하고 언어를 통한 연상과 은유의 폭을 넓히라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 방법이야말로 다른 사람과 영어로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느끼고 이해하고 상상하며 배우는 특별한 영문법 -구구절절한 설명은 가라! 기억하기 쉬운 영문법의 핵심 키워드 문법을 설명하는 개념들은 대개 한자어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영어의 각 품사가 지닌 핵심적인 역할을 비유적으로 설명해 영문법을 구성하는 여러 개념들을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학생들이 대체로 습득하기 어려워하는 동사의 시제 활용이나 전치사의 선택, 적절한 대명사의 적용 등 실제로 문법 공부를 통해 습득해야 할 알짜배기 키워드가 이 책에 담겨 있다. -지루하고 딱딱한 암기는 이제 그만! 유쾌하게 풀어보는 연습 문제 무작정 문법의 규칙을 외운다고 해서 영문법을 마스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영어 단어들을 서로 부딪게 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뜻을 전달할 때 문장 속에 숨은 문법의 구조를 머릿속에 익힐 수 있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재미로 배우는 영어’라는 특별한 연습문제 코너는 그러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다소 엉뚱하고 낯설게 연결되는 단어들을 조합해 재기발랄한 뜻을 전달하는 문장들을 만들면서 품사들의 각 역할과 연결 고리를 더욱 실감나게 이해해보자. -더는 겁나지 않는 영어 글쓰기! 탄탄한 영문법을 바탕으로 나만의 영어 에세이 쓰기 단지 문법 공부로만 끝나는 영어 공부는 쓸모가 없다. 문법을 바탕으로 회화, 작문, 독해 등 제반 실력이 늘어나야 문법을 공부한 의미가 있다. 사실 실생활에 꼭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적용하기에도 쉬운 영문법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영어로 글을 쓰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 책은 단순히 암기로만 끝나는 영문법이 아니라, 탄탄하고 섬세한 문법 지식을 바탕으로 나만의 생각을 담아 영어로 에세이를 쓰는 실력을 키워준다. |
목차 |
들어가는 말 영어는 양쪽 뇌로 배우자 PART 1 감탄사_감탄사는 로고다 PART 2 명사_명사는 언어의 마술주문이다 Chapter 1 명사의 종류 1 사람을 나타내는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2 장소를 나타내는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3 사물을 나타내는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4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Chapter 2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 1 질량명사 2 집합명사 3 추상명사 4 동사에서 만들어진 명사 5 그 밖의 셀 수 없는 명사들 Chapter 3 명사의 복수형 123 1 -s, -z, -x 2 -o 3 -y 4 -f 5 단수형과 복수형이 같은 명사 6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명사 7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명사 PART 3 대명사_대명사는 전표다 Chapter 1 대명사의 편리함 Chapter 2 대명사의 종류와 쓰임 1 인칭대명사 2 한정사로 쓰이는 인칭대명사의 소유대명사와 소유한정사 3 it의 예외적인 쓰임 4 지시대명사 5 재귀대명사 6 부정대명사 7 관계대명사와 의문대명사 PART 4 형용사_형용사는 언어의 양념이다 Chapter 1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 Chapter 2 일반형용사와 고유형용사 1 색깔 2 모양 3 크기 4 연령 5 국적이나 원산지 6 견해나 판단 7 재료 8 목적 Chapter 3 형용사로 사용되는 단어 1 명사 수식어 2 복합형용사 3 형용사로 사용되는 분사 Chapter 4 형용사의 어순 Chapter 5 형용사를 이용한 비교문 만들기 1 비교급 만들기 2 최상급 만들기 3 불규칙 비교급과 최상급 Chapter 6 명사를 형용사로 만들기 1 명사를 보통형용사로 만들기 2 명사를 고유형용사와 불규칙형용사로 만들기 Chapter 7 특별 모둠에 속하는 형용사들: 한정사 1 관사 2 관사를 대신하는 한정사 PART 5 동사_동사는 언어의 엔진이다 Chapter 1 동사의 형태 1 동사의 5형태 2 단수형과 복수형, 3가지 인칭에 따른 동사형의 변화 Chapter 2 본동사와 조동사 역할을 모두 하는 동사 1 to have 2 to do 3 to be 4 to go Chapter 3 분사 1 현재분사 2 과거분사 Chapter 4 동사가 하는 일 1 시제와 상 2 법 3 태 Chapter 5 법조동사 1 will 2 can 3 could 4 may/might 5 must 6 should 7 whould 8 법조동사의 부정문과 축약 Chapter 6 부정문 만들기 1 단순시제의 부정문 2 그 외 시제의 부정문 3 부정 축약형 Chapter 7 의문문 1 의문문 만들기 2 의문문의 종류 PART 6 부사_부사는 리본이다 Chapter 1 부사의 종류 1 ‘어떻게’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 2 ‘어디’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 3 ‘언제’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 4 강의어 역할을 하는 부사 PART 7 전치사_전치사는 포스트잇이다 Chapter 1 전치사의 역할 Chapter 2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전치사 1 of 2 in 3 to 4 for 5 with PART 8 접속사_접속사는 파이프 이음재다 Chapter 1 접속사의 종류 1 등위접속사 2 종속접속사 |
본문내용 |
■ 모든 언어 학습은 전뇌 학습이다. cat이라는 단어 하나를 예로 들어보자. 고양이의 이미지와 고양이가 내는 소리는 뇌의 한쪽에서 처리하고, c-a-t라는 글자들과 이 단어의 의미는 다른 쪽 뇌에서 처리한다.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양쪽 뇌가 다 필요한 것이다. 말하거나 듣거나 쓰거나 읽는 어떤 단어・구・문장을 처리할 때 뇌는 좌뇌와 우뇌 사이에서 놀라운 춤을 춘다.(12쪽) ■ 감탄사는 기본적인 사회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쓰이는 로고 같은 것이다. 로고는 대체로 매우 단순한 그림이지만, 그 의미는 대단히 탄력적이다. 로고는 회사 전체를 나타낼 수도 있고 한 제품을 드러낼 수도 있다. 혹은 선전문에 압축된 개념이나 명성을 상징할 수도 있다. 기름으로 범벅된 갈매기 옆에 어떤 석유 회사 로고를 배치해놓았다고 하자. 그 의미는 금세 분명해진다. 포뮬러원 경주 대회용 자동차 위에 어떤 석유 회사 로고가 붙어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번에는 그 의미가 달라진다. 말은 모두 상징이지만, 그중에서도 감탄사는 로고처럼 완벽한 개념이다.(16쪽) ■ 명사는 언어의 마술 주문이다. 아기들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엄마와 아빠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를 배워 엄마와 아빠를 부르면 눈앞에 엄마 아빠가 나타난다. 얼마나 강력한 주문인가! 또 자신이 원하는 음식이나 장난감을 지칭하는 단어들을 배워 단어 하나를 소리 내어 말하면, 자기가 원하던 물건이나 사람이 눈앞에 나타난다. 이처럼 명사는 언어를 시작하게 하는 토대다.(30쪽) ■ 아래 빈칸에 1~20까지 아무 숫자나 무작위로 적어보자. 그런 다음 그 숫자에 대응하는 개념명사를 제시어 목록에서 찾아 확인해보자. I read a fantasy story about a world that was very much like ours, but where the people felt very differently about some things. In this world, people felt ( ) for their families and ( ) for their enemies. Time spent with friends resulted in ( ) and time spent alone resulted in ( ). The more they expressed ( ), the more the also expressed ( ). They went to war because of ( ) and they made peace only for ( ). When a child was born, everyone felt and when a child died, they all were ( ). I could not imagine living in such a place. 제시어 ① joy ② sadness ③ fear ④ anger ⑤ love ⑥ hate ⑦ envy ⑧ lust ⑨ confidence ⑩ loneliness ⑪ friendship ⑫ hope ⑬ boredom ⑭ surprise ⑮ confusion ⑯ anxiety ⑰ pride ⑱ happiness ⑲ hopelessness ⑳ pleasure (56쪽) ■ 겉으로 보아 멋지지만 엔진이 달리지 않은 메르세데스 벤츠를 소유했다고 상상해보라. 아무리 비싸도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이 비싼 차를 어디로든 몰고 갈 수 있으려면, 가장 먼저 엔진부터 달아야 한다. 동사가 하는 일은 바로 이런 것이다. 동사는 명사가 어디론가 가도록 도와준다. 동사가 명사에 행동이나 상태와의 관계를 찾아줄 때 언어는 시작된다. •man, dog, go, love →The dog went to the man he loved.(194쪽) ■ 의문사가 쓰인 의문문에서 질문의 내용은 이 ‘모르는’ 것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yes/no로 답해야 하는 의문문과는 다르다. yes/no로 답해야 하는 의문문은 ‘모르는’ 것이 문장의 일부에 속해 있지 않다. x+3=3이라는 등식에서 x가 의문사라고 생각해보자. 다음 등식과 마찬가지로 ‘모르는’ 것은 여러 요소들이 될 수도 있다. 언어에서는 x 대신 의문사를 사용한다. •(x+2=3) ? got married in Las Vegas. (Who got married in Las Vegas?) •(1+x=3) John ? in Las Vegas. (What did John do in Las Vegas?) •(1+2=x) John got married in . (Where did John get married?) 이 등식의 답은 이렇다. •John got married in Las Vegas.(312쪽) ■ concept 8 어떤 부사들은 정확한 시간보다 대략적인 빈도를 알려주기도 한다.(324쪽) 이런 부사들을 never(0%)에서 always(100%)까지의 범위 중 어딘가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never, rarely, seldom, occasionally, sometimes, often, usually, constantly, always 등이 이에 속한다. |
지은이 소개 |
❚ 수잔 디렌데
❚ 김이숙
❚ 수잔 디렌데 교수의 책 두 권 - 미국대학 공부법 책소개 보기 : http://bit.ly/1cJGG1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