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권 모두 한국인이 읽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독해력 부족을 자책하거나 어렵게 썼다고 저자를 원망할 필요는 없다. 독해가 어려운 것은 낯선 정보가 너무 많아서다. 모르는 정보가 많으면 스토리를 이래하기 힘들고, 스토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텍스트에 몰입하기 어려원진다.
'1장 서구 역사의 창시자,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편 (51쪽)
역사란 무엇인가도 그와 같다. 열 번을 올라도 다 안다고 말할 수 없는 큰 산이다. 한 번 읽으면 조금 알게 되고 두 번 읽으면 더 알게 되며, 거기 들어 있는 사건과 사람과 책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찾아보면서 읽으면 그보다 더 높은 수준에서 즐길 수 있다.
'7장 에드워드 H. 카의 역사가 된 역사 이론서'편 (228쪽)
들어본 역사가나 역사서가 반이 안된다.
1장의 헤로도토스와 트키디데스, 2장의 사마천은 청소년 대상의 만화책을 읽어 기초 지식은 좀 있다. 3장의 이븐 할둔은 처음 듣는 이름이고, 4장의 랑케와 5장의 마르크스은 이름만 간신히 아는 정도이다.
6장의 민족주의 역사학에서 나오는 박은식과 신채호는 역사학자나 역사가로는 생각도 못했다. 백남운은 월북하셨다니 생소한 것은 당연하다.
7장부터 9장까지에 나오는 인물이나 책들도 별반 다르지 않다.
'역사의 역사'는 앞의 역사에 대해 아는 것이 없으니 뒤의 역사에 대해 설명해 준다해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다.
작가는 책에 나오는 역사서가 어려운 것은 당연하며 점점 재밌을 것이니 여러 번 읽을 것을 권한다.
제대로 즐기려면 '역사의 역사'도 여러 번 읽어야 할 것 같다.
이제 한 번 읽었다. 갈 길이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