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건축물을 짓고 사람이 그것을 누리는 것 처럼 여기지만 사실은 지어지고 나면 그 순간부터 건축물이 사람의 행동과 일상을 강제한다.

 

선배건축가가 '건축가는 건축주의 생각을 품고있다가 낳아주는 대리모'라는 이야기를 했다.

존경하는 이 선배의 말이 온전히 와닿지 않는 것은 그 '건축주의 생각'이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저열한 경우가 많아서 그럼 그냥 시시하고 못생긴 아이를 대신 낳아야하나 라는 의문 때문이다.

 

원하는 건축물을 낭비없이 시행착오없이 지어내고자 함은 이견없는 것이고 그것을 위한 정보도 많고 사전 준비도 치밀해지고 있다. 하지만 말이다..그 원하는 건축물이라는 것 자체가 박약한 생각과 이해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면 결과가 시시할 가능성 100%

 

알맞은 재료, 형태, 시공방법...그런 것들에 대해서는 이해의 폭을 넓히기 쉽고 조금만 찾아보고 공부해도 유연하게 생각을 바꾸기도 하지만 집 그 자체에 대한 관념은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건축가들도 아예 그런 것을 입에 담지도 않고(그래봐야 논쟁이 붙고 시간은 늘어지고 경제적인 손실만 생기고 무엇보다 대부분 결국엔 설득이 안되니까) 건축주의 의도를 간파한 후 그가 원하는 구성에 자신의 디자인을 보태서 살갑게 들이댄다.

 

내가 즐겨하는 비유로(이놈의 비유병;;) 이제 여유가 생겼으니 근사한 커피문화를 즐기고 싶다고 방법을 물어오긴했지만, 커피 배전하는 방법, 원두를 가는 기계, 드립퍼..이런 설명에 기겁하고는 인스탄트 커피의 편리함은 절대로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하면 건축가가 할 수 있는 것은 커피믹스 보관함에 진주를 박아넣는 일과 근사한 커피잔을 소개해 주는 일이다. 그러고나면 진주가 아니라 다이아을 박아넣어도 결국에는 보람은 적고, 뭐 맘대로 하라그래 돈이나 챙기자 싶다.

 

인스탄트 커피도 좋다.(건축가들은 인스탄트 커피를 보다 잘 즐길수 있게 무지하게 연구한다.)

하지만 여유가 있어 커피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겠다면서도 이것을 고집하면 답답해진다. 커피를 깊이있게 즐기게 되면 번거롭게 보이던 추출과정을 조금도 생략하고 싶어하지않게된다. 그 과정이 있어 더 좋기도 하다.

 

흔히들 말하는 '편리하다'라는 의미가 '사람을 게으르게 만들고 타락시킨다'와 동의어는 아닌지 생각해봐야하지 않을까.

 

내가 지금 원하는 집에 그치지말고 그 이상으로 내 생활과 인생을 고양시켜줄 수 있는 집이 무엇인지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깊이 생각하시라고 말하고 싶다.

 

집이 나를 만든다.

 

물론 그 이전에 자신의 생활과 인생을 고양시켜줄 요소가 뭔지 찾아야만하겠지만.

 

-------------------------------

 

이 뭔 개소린가 싶은 분들을 위해서(사실은 내가 쓰고도 횡설수설 같아서)

즐겨보는 일본 주택관련 잡지에서 본 인상적인 집을 우선 하나 소개합니다.

 

 

 

 

 

 

 

대지가 60평정도 -197.96㎡(59.88坪)-

건축물 연면적은 1,2층 20평씩 모두합쳐서 40평이 조금 넘는 -142.18㎡(43.0坪)- 그닥 크지않은 주택입니다.

 

건축주는 자신의 집에 도서관 공간이 있기를 바랬습니다. 현실은 크지않은 대지와 한정된 건축비.

하지만 집안에 근사한 도서관 공간이 있습니다. 어떻게 한 것일까요. 건축가가 재주를 부린 것이 아닙니다.

현관을 아주 크게(1층 공간의 절반이 넘게) 만들고 그곳에 현관을 겸하는 도서관을 만들었습니다.

대신 2층의 거실과 식당 주방의 면적이 현관과 같고, 방들은 무척이나 작습니다.

이렇게 생긴 도서관 공간은 도서관과 현관의 기능 뿐만이 아니라 손님을 맞이하는 리셉션공간도 되고 작업실 ,오피스 기능도 겸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2층의 거실과는 다른 성격의 동적인 거실공간이 됩니다.

평면구성도 사실 꼭 보지않아도될 만큼 평범합니다.(도면은 잡지에서는 봤는데 인터넷에서 못찾아서 못올림;;)

 

이렇듯 간단합니다.

건축주가 자신이 원하는 바를, 앞으로 원하는 일상을 정확히 알고 확고한 의지가 있다면,

또 그 이외의 것을 포기할 용기가 있다면 말이죠.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19

댓글쓰기
  • 쟈파

    ㅎㅎㅎ'시시하고 못생긴 아기를 대신 낳아야하나...'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저도 디자이너로 일하던 시절, 어떻게든 상대를 설득해 보려고 수 많은 비유를 했었어요. 말이나 글을 시각화 시킬줄 모르는 사람들의 1차원적 상상력 때문에 밥과 생쌀의 비유, 전문가의 의견이 더 정확하다는 설득을 위해 의사와 환자의 비유...등등. 솔직히 의뢰자의 아이디어나 취향이라는게 허접한 경우가(허접 쓰레기라고 썼다가 고쳤습니다.) 대부분이거든요. 저는 바보같은 소리를 참지 못하는 한 성깔하는 못된 디자이너였어요.
    60평에 40평 정도로 저렇게 멋진 집을 지었군요. 내 집을 짓는 근사한 일이 내 평생에 올까 싶네요.

    2012.04.20 12:23 댓글쓰기
    • 파로

      어, 디자이너로 일하셨는지는 몰랐습니다. 어떤 일을 하셨는지 급관심...

      2012.04.20 20:55
    • 쟈파

      그래픽 디자인일 했어요. 브로슈어,사보 이런거 만드는게 주였고 그외에도 별별 여러가지 다 했어요.

      2012.04.21 04:16
  • 달구벌미리내

    건축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그 집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도 딱히 잡히지 않는 사람들은 그저 평당 얼마나 돈이 들지와 겉보기에 어떨지만 생각하겠죠. 그런데 그게 크게 잘못이라고 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건축사나 예술가들처럼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고 꼭 나쁘다고 할 수도 없죠. 많은 이들이 제 집을 지으면서 지어주는 이들한테 많이 속았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얼마가 든다고 했다가 갈수록 돈이 늘어나고...그래서 다시는 제 집을 짓지 않겠다고 이를 가는 이들도 보았고요. 그러다 보니까 그저 제 돈에 맞춰 돈은 적게 들이고 알맹이는 튼실한 쪽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이 생기지 않았나 싶습니다. 제가 살 집도 그렇게 짓는데, 하물며 세를 놓거나 빌려주는 집을 지을 때야 더 그렇겠죠. 그게 이쪽을 잘 아는 이가 보면 허접하고 쓰레기 같은 생각일지라도...집이야 비바람을 막아주고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면 딱이지 않을까요? 아직 제 돈을 주고 집을 지어보지 않아서 그런지 몰라도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해봤습니다.ㅎㅎ. 파로 님 같이 집을 제대로 짓겠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더 좋은 집을 지을 것이라는 것에는 저도 생각이 같습니다만...

    2012.04.20 14:57 댓글쓰기
    • 파로

      네...근데 말씀하신 것은 제가 쓴 글과는 전혀 별개의 내용 같습니다만..
      제가 아무래도 두서없이 쓰다보니 전달하려는 내용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 듯 ;;

      2012.04.20 20:57
    • 쟈파

      제 댓글도 약간 오해를 더한것 같네요. 그 일을 완성하는데는 적지 않은 돈이 들어가는데(건축의 경우엔 훨씬 더 큰돈이 들어가겠죠.), 의뢰인의 좁은 시야나 불필요한 고집으로 쓰는 돈 만큼의 가치를 내지 못해 안타까운 경우가 많아요. 때로는 의뢰인 자신이 가진 기본 계획에 반하는 얘기를 하는 적도 있어요. 경험이 많은 전문가는 대체로 결과가 보이는데 결과물이 의뢰인의 자식이기도 하지만 일하는 사람 제자식이기도 하니 얼마나 안타깝고 속상한지 몰라요. 뭐 사실 진상 의뢰인이 있기도 하고요.ㅎㅎㅎ
      파로님, '집에 대한 관념'에 관한 포스팅 언제 한번 더 해주세요!^^

      2012.04.21 04:26
    • 달구벌미리내

      파로 님이 잘못 쓰신 건 없는 듯합니다. 오히려 제가 이런저런 생각을 늘어놓은 듯한데요.ㅎㅎ. 잘 아는 이와 까막눈의 만남은 언제나 잘 아는 이를 골탕먹이죠. 까막눈은 막무가내라서...현관과 도서관을 같이 쓸 수 있도록 한 위의 집은 사람 마다 다르게 느낄 듯합니다. 저는 바닥이 좀 낯설어 보이고 집 같은 느낌이 덜 듭니다. 제 생각에는 집이 따뜻하고 반가운 느낌이 들면 좋겠는데, 그 집 1층은 좀 썰렁해 보입니다. 앞에서 찍은 사진 한 장으로 다 알 수는 없겠지만요. 2층으로 된 집의 겉모습은 저도 좋습니다. 평면도 같은 게 있으면 속을 더 잘 들여다 볼 수 있겠죠.

      2012.04.21 16:07
    • 파로

      도면도 찾아서 올려보겠습니다.

      2012.04.23 11:01
  • 스타블로거 행복한왕자

    올려주신 사진은 제가 딱 좋아하는 집 스타일이네요.
    보면 볼수록, 저런 일본식 건축들이 참 맘에 드는데...저는 크고 넓은 대저택보다, 적당히 공간을 활용한 작고 예쁜 건물들이 좋아요.

    집을 지어볼 날이 있을지 의문이지만, 보통 전문가에게 뭘 맡길때..그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저는 컨셉만 이야기 하지요.(예를 들면...미용실 가서는 " ' 인정머리 없게 샤프한 분위기'로 연출해 주시고 나머지는 알아서 해주세요", 택시를 타면 "기사님께서 가장 편안하게 가실 수 있는 길로 가주세요", 여친 립스틱 사러가서는 " 미치도록 정열적인 빨간색" 뭐 이렇게...^^;;)

    어쨌거나, 언젠가 집을 짓게 된다면... "예산 얼마, 침실1칸, 드레스룸 1칸, 바이올린 룸 1칸, 나머지는 거실...자연친화적이되 약간의 불편함은 감수 가능. 은근 모던한 분위기면 되겠고...촌스러우면 죽여버리겠음 "

    이렇게 이야기할 생각입니다.


    저도 간만에 댓글 달다보니...웃긴 댓글이 되어버렸네요. --;;

    2012.04.21 14:19 댓글쓰기
    • 파로

      <촌스러우면 죽여버리겠음>앞뒤 문맥을 다 잘라내고 이것만 써놓아도 이웃 블로거들은 누가 쓴 글인지 모두다 알아차린다에 10원 걸어요.ㅎㅎ
      행복한왕자님 다운 말씀이기도 하고, 제 마음에 드는 멘트이기도 합니다.

      2012.04.23 10:51
    • 화살나무

      "촌스러우면 죽여버리겠음" 요즘 아이들 말로 대박!!!입니다.
      안녕하세요? 처음 뵙습니다.

      2012.04.23 12:40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