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직장의 본부 건물에 공간이 부족해서

내가 일하는 부서는 근처 킨텍스 오피스 건물에 임대를 얻어 사용하고 있다.

나는 본부 지하에 있는 구내식당에 점심을 먹으러 걸어다니기는 하지만 그곳에서 일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몰랐는데 본부에서는 요즘에 에어컨을 전혀 틀지 않는다고 한다.

전력 피크 위기로 전기 절약을 호소하고 있는 지금,

우선 모범을 보여야 하는 것이 공무원을 비롯한 국가기관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라서;;;

세종시의 행정복합 청사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부채로 버틴다지.

센터장님이 본부 회의에 참가하니 실내 온도가 34도 이더라고.

 

옛날에는 에어컨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싶지만

통풍에 신경쓰고 자연에 순응하고 살아서 건물 안이 지금처럼 이렇게 대책 없이 덥지는 않았다.

지금의 대부분의 건물은 추위와 더위를 막을 수 있는 기계시설을 전제하고 건물을 지었다.

 

왜그랬을까...

자연에 순응하는 이른바 ‘자연조절형’의 건축을 하는 것 보다

공간효율을 최대화 하고 그로인해 나타나는 문제점들은 중앙공조설비 등으로 해결하는 편이 훨씬 남는 장사라서 그렇다.

지금까지 이렇게 화석연료 사용하면서 잘 지내온 듯 싶지만, 이제 위기를 맞는다.

 

건축은 발전이 아니라 진화한다고 한다. 발전은 좋아지는 것이고 진화는 살아 남는 것이다.

 

에너지 절약, 친환경, 지속가능을 목표로 기존의 건축물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

이것이 그린리모델링의 개념이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그로 인해 건축물의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

그래야 누가 억지로 시키지 않아도 그린리모델링이 이루어진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6

댓글쓰기
  • 달팽이

    집이 있는 땅을 사서, 멀쩡한 집을 허물어버리는 게 죄짓는 일 같아서 구조변경을 하고 맞배지붕으로 기와를 올렸어요. 시골이라 산이 있고, 앞에 냇물이 흘러 시원하기도 하지만 마당에 나가면 엄청 더운데 집안은 서늘해요. 아직까지 선풍기 없이 살 수 있어요.

    자연조절형 건축, 진화하는 건축과는 전혀 딴판으로 지어진, 마지막으로 근무했던 학교 건물이 떠오르네요. 찜통같은 더위에 에너지절약한다고 에어컨도 못 켜고 있을 아이들이 떠오릅니다. 교실, 사십 명에 가까운 아이들의 열기가 더해져 생각보다 훨씬 덥거든요. 학교 교실은 예외로 했으면 좋겠어요.

    2013.07.04 13:19 댓글쓰기
  • 파로

    아주 잘하셨네요. 리모델링은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듭니다. 신축의 80%정도는 들죠. 그럼에도 집을 헐고 새로 짓지 않고 고쳐쓰는 것은 폐기물을 줄이고 결국에 환경을 보호하려는 의지가 발현된 것이기도 하죠.

    학교를 비롯한 공공건축물을 리모델링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13.07.05 00:11 댓글쓰기
  • 쟈파

    동사무소 갔더니 숨이 컥컥 막히는데 대형 미용실에서 머리 자르는데는 으슬으슬 추웠어요. 뭐 남는 것도 없는 에너지 절약이더군요.
    이제 발전의 시대는 끝나고 할 수 없이 진화의 시대를 맞아야만 하는걸까요? 하시는 일이 의미있고 즐거운 부분이 많을거 같아요.

    2013.07.16 14:36 댓글쓰기
    • 파로

      분명 의미있는 일입니다. 자부심을 갖고 일하려 하고 있습니다. 즐거운 부분은 아직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차차..

      2013.07.17 23:38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