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보이지 않는 여자들

[도서] 보이지 않는 여자들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저/황가한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통계의 모집단에 여자가 없고 남자만 있다는 내용이 전반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웠다. 어디선가 인바디에서 요구하는 표준 근육량이나 지방량은 남성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에게 해당 수치를 요구하면 안된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었다. 출산이 가능한 여성의 몸은 남성과 비교했을 때 지방이 더 많고 근육이 적은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때문에 남성을 기준으로 한 '표준' 수치에 여성을 끼워넣어서는 안된다는 요지였다. 출처가 명확하지 않아 실제로 얼마나 신빙성 있는 주장인지는 모르겠으나 이 책을 읽다보니 아주 없는 말은 아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성이 배제된 수많은 실험들과 연구 결과가 서글펐고, 개선되어야 마땅하다고 생각했으나 한편으로는 성별간의 차이가 반영되지 않은 수많은 사례들을 계속 읽고 있자니, 이렇게 따지자면 나이나 인종도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보니 수많은 인간들을 대표하는 '표준' 인간형을 설정한다는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그러니까 다르게 표현해보자면, 시간과 비용이 얼마나 많이 필요할지 가늠해보다가 결국은(?) 저들이 왜 여성을 데이터에서 빼버렸는지 살짝 추측해버리기도 했다. 참나..ㅋㅋㅋ


PYBLOGWE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