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여성들의 식생활은 왜?
젊은 여성들과 식생활 상담을 하다보면 '5대 만성병'의 고민이 심각한 수준으로 되어 있다. 현대병의 전형인 아토피성 피부염도 여성의 경우에 증상이 더 심하다. 공부하는 학생들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대체로 건강하지 못하다. 병원에 갈 정도는 아니지만 생리불순, 수족냉증, 변비, 피부트러블, 빈혈 등이 없는 건강한 여학생이 오히려 드문 현실이다. 현대 식생활의 상황이나 경향, 문제점 등에서 여성의 많은 문제점들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답은 매우 간단하다.

건강에 무관심한 남성들조차 식사만은 든든하게 하는데 반해, 여성이 든든하게 밥을 먹는 경우는 드물다. 이것만으로도 식생활의 문제점은 70% 결정되는 것이다.

20,30대 여성의 식생활에서 가장 큰 특징은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이고, 그것이 식생활 전체의 균형을 깨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그중에서도 아침밥을 꼭 챙겨 먹는지 안 먹는지에 큰 차이가 난다.

아침밥을 먹지 않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다. 흔히 '아침밥을 먹지 않는 아이들에게 빈혈이 많다'고 하지만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 몸에는 저장탱크(간과 근육 안에 비축된 글리코겐, 지방 등)가 있으므로 한두 끼 정도 먹지 않는다고해서 쓰러지는 일은 없다. 빈혈로 자주 쓰러지는 아이는 평상시 올바른 식생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침밥을 먹지 않는다. 우리는 말랑말랑한 빵만으로는 밥과 같은 포만감을 느낄 수 없다. 그러면 결국 과자류와 주스 같은 간식을 먹는 일이 잦아지게 된다. 또한 설탕과 유지류가 함유되어 있는 빵도 그냥 먹는 게 아니라 버터, 마가린, 잼 등을 발라서 먹게 된다. 게다가 커피, 홍차, 스튜, 스프, 주스 등을 곁들여 마시고 채소는 샐러드에 드레싱과 마요네즈를 뿌려 먹게 된다. 그리고 부식은 햄가 달걀요리, 튀긴 음식 등이 주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빵에는 서구식이 잘 어울린다는 것이 더욱 곤란하게 한다.빵을 먹으면서 절여 말린 생선이나 김치, 시금치나물 등을 곁들여 먹는 사람은 없으니 말이다. 우리의 식탁은 어느새 설탕과 유지방투성이가 되었다.

하루에 밥을 한두 공기밖에 먹지 않는 여성이많다. 식사량이 적으면 그만큼 에너지 근원이 부족해진다. 부족한 분량을 감자와 같은 곡류 등으로 보충하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다음의 세 가지로 보충하는 것이 문제이다.

--- pp.178~179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2

댓글쓰기
  • 현지아빠

    현대인들은..

    현대인들은 아침 식사를 잘 거르며, 먹는다고 할지여도 콘플레이크나 빵, 우유 등등을 먹는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일들은 절대 금물이라고 말하고 있다. 정말 그런것 같다. 요즘 많이들 먹는 햄버거 열량은 높지만 영양가가 없어 살이 찌며, 몸에도 그리 좋지않다. 하지만 아침에 밥을 먹는것은 정말 좋은 방법이다. 우리말에 아침은 왕처럼 점심은 평민처럼 저녘은 거지처럼 먹는것이 좋다는 말도 있다. 이 책에서 자주 언급하는 현미밥;이는 백미보다 좋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흑미밥 또한 그러하다. 된장찌게 김치 이 모든것 들이 주위에서 쉽게 구할수 있으면서 몸에 이로운 음식이다 우리는 이 책에서 말하는것 처럼 우리 몸에 맞는 우리식단으로 더욱 건강해 져야 할것이다.

    2003.12.11 21:56 댓글쓰기
  • 현지아빠

    전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 '밥상을 다시 차려라', '소박한 밥상', '채식 격월간지' 등을 봐 왔었는데 위 책들이 공통점도 있지만 서로 달리 주장하는 것도 많아서 무척 혼란스러웠어요. 그런데 그런 제 걱정을 마침표를 찍어 책이 이 책입니다.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내용은 바로 음식은 서로 장단점이 있다는 것과 그런 것을 개의치 않고 골고루 먹으라는 것입니다. 대신 육류는 달걀로 만족을 하라고 나와요. 육류는 어느 책을 봐도 먹지 말라고 하더군요. 실제 책 내용대로 밥상을 차리면 그리 초라할 것 같지는 않아요. 하지만 요리는 편할 것 같네요. 현미잡곡밥, 야채절임(책에는 자세히 소개되지 않았지만 피클이나 단무지 같은 것을 얘기하는 것 같아요), 김치 등은 한 번 해 놓은면 매일 오래 먹는 것이니 괜찮고 그 다음 된장국, 제철채소, 어패류.달걀류.해조류.콩류 중 한 가지만 하면 되니까요. 저처럼 요리 하기 귀찮은 사람에겐 희소식이 아닐까? 먹는 사람은 어떨지 모르지만요. 책 중간중간에 테스트하는 것도 있고요. 책도 가벼워서 읽기에도 부담 없었어요. 여러분들 모두모두 골고루 드세요.

    2003.12.11 21:57 댓글쓰기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