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환경의 대안. 소식(小食)에 지구를 살린다. 코다 미쓰오 박사의 건강론 * 건강에 가장 나쁜 것은 많이 먹음으로써 숙변을 만드는 것. 숙변은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 류머티스, 심장병, 암의 근원. 숙변이 쌓이지 않게 하려면 식사량의 60~70%를 먹는 게 바람직. 첨단 의학실험결과 평소량의 60%를 먹으면 암 발생률이 한 자리 낮아짐. * 현재 지구에서는 옥수수를 6억 톤 생산하는데 가축의 사료로 4억 톤을 쓰고 있음. 그리고 일본의 경우 대개 한 사람은 평생 6마리의 소를 먹는데, 결국 일본 인구는 모두 7억 5600만 마리의 소를 소비하고 이것은 지구환경에 엄청남 부담을 초래함. 또 적게 먹고 적게 쓰레기를 만드는 것도 중요. * 우리는 많이 먹을 자유도 있지만, 그것은 진정한 자유가 아니다. 자유가 있다고 배가 부르도록 먹으면 곧 자유를 구속당한다. 맛있는 것만 먹는 것은 눈앞의 행복만 생각하는 것. 30~40년 뒤의 행복을 생각하면 그럴 수 없으며, 적게 먹으면 몸은 더 많은 것을 사람에게 갖다 줌. * 적게 먹는 때는 대신 더 좋은 것을 먹어야 함. 현미, 통밀빵, 흑설탕, 작은 생선, 콩이나 해조류 등이 그것. p.268 지구환경의 대안. 소식(小食)에 지구를 살린다. 코다 미쓰오 박사의 건강론 * 건강에 가장 나쁜 것은 많이 먹음으로써 숙변을 만드는 것. 숙변은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 류머티스, 심장병, 암의 근원. 숙변이 쌓이지 않게 하려면 식사량의 60~70%를 먹는 게 바람직. 첨단 의학실험결과 평소량의 60%를 먹으면 암 발생률이 한 자리 낮아짐. * 현재 지구에서는 옥수수를 6억 톤 생산하는데 가축의 사료로 4억 톤을 쓰고 있음. 그리고 일본의 경우 대개 한 사람은 평생 6마리의 소를 먹는데, 결국 일본 인구는 모두 7억 5600만 마리의 소를 소비하고 이것은 지구환경에 엄청남 부담을 초래함. 또 적게 먹고 적게 쓰레기를 만드는 것도 중요. * 우리는 많이 먹을 자유도 있지만, 그것은 진정한 자유가 아니다. 자유가 있다고 배가 부르도록 먹으면 곧 자유를 구속당한다. 맛있는 것만 먹는 것은 눈앞의 행복만 생각하는 것. 30~40년 뒤의 행복을 생각하면 그럴 수 없으며, 적게 먹으면 몸은 더 많은 것을 사람에게 갖다 줌. * 적게 먹는 때는 대신 더 좋은 것을 먹어야 함. 현미, 통밀빵, 흑설탕, 작은 생선, 콩이나 해조류 등이 그것. p.268 완전 식품의 신화, 우유의 진실 우유는 완전식품이라고 불릴 만큼 칼슘, 단백질이 풍부하고 각종 매스컴도 그렇게 선전하고 있기 때문에 의심을 갖지 않았다. 또 골다공증 예방에도 좋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영양이 풍부하다는 것과 몸에 좋다는 것은 다르다. 또 실제로 그 영양을 비교해 보면 우유 신화의 문제점을 알 수 있다. <우유에 반대하는 일본, 미국 학자들의 주장> * 우유는 골다공증에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뼈를 약하게 만든다. 실제로 우유 소비가 많은 나라 사람들의 뼈가 가장 잘 부러진다. 우유를 마시면 우유의 칼슘은 대부분 흡수되지 못하며 동시에 체내에 있는 칼슘이 배출되어 버리는데 이는 우유에 들어 있는 동물성 단백질과 염분의 작용 때문이다. * 우유는 남성에게 전립선암을 유발한다. * 우유의 철분 함량은 쌀밥의 5분의 1수준. 현미는 우유의 11배, 시금치는 37배, 깨 콤 무말랭이는 90배, 멸치는 90배의 철분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빈혈이 없었다. * 우유는 송아지를 위한 것, 송아지의 몸을 크게 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하지만, 소는 사람에 비해 뇌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 동양인은 원래 농경인으로 우유를 마시지 않았다. 동양인의 90%는 유당을 분해하는 기능이 없다. * 우유는 칼슘이 적다고 할 수도 있다. 새우는 우유의 65배, 마른 멸치에는 13배, 깨에는 11배, 김에는 7배, 대두에는 2배가 들어 있다. 우유보다 이런 식품에 더 좋은 품질의 칼슘이 들어 있다. * 우유로 문제가 생긴 사람은 된장국이 대안이다. p.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