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무방부제라는 말에 속지 말자
언제부터인가 제빵회사나 제과점에서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은 빵'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마케팅을 벌이는 것을 보게 되었다. 그때 나는 '아, 우리 사회도 전근대적인 방부제를 쓰지 않는 선진 음식문화로 발전하는 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더니 지금은 방부제를 쓰지 않는다는 점이 경쟁력 있는 요소로 취급되지 않을 정도록 이땅에서 방부제가 설 땅이 좁아진 듯하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 볼 만한 점이 있다. 방부제를 쓰지 않는다늕 빵의 유통기한을 보면 대개 일주일은 족히 된다. 부드러울 정도로 촉촉하여 방균이 살기에 알맞은 습도를 갖추었고 설탕, 버터 등의 영양분이 충분한데도 상온에서 상당 기간을 버틴다니 이상하지 않은가? .....

그러나 이상할게 하나도 없다. 빵을 만드는 사람은 방부제를 쓸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원료인 밀가루에 이미 충분한 방부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선박을 통해 수입되는 통밀이나 밀가루는 장기간 썩지 않으면서 하얗게 보이기 위해 방부제, 표백제 같은 화학첨가물의 '세례'를 받게 된다. 빵이 제과점에서 우리 가정으로 유통되는 데는 일주일이면 충분하지만 밀가루가 외국에서 제과점까지 유통되는 데는 최소한 몇개월, 길게는 몇년이 걸린다. 일주일 유통을 위해서는 방부제가 필요없지만 몇 년의 유통을 위해서는 방부제가 꼭 필요해진다.

-------93p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2

댓글쓰기
  • 현지아빠

    제철 채소+조미료 없는 밥상=건강 쑥쑥
    요즘 아이들은 덩치도 크고 성장도 빠르다. 그렇지만 소아과 병원에 가보면 아토피피부염부터 소아비만과 소아성인병까지 예전에는 상상도 못했던 병에 시달리는 아이들이 많다. 시민운동가 김순영씨는 과거 몇천년 동안 전통음식에 익숙해지도록 진화돼 온 우리 몸이 최근 20여년 사이에 일어난 우리의 먹을거리의 급격한 변화를 견뎌내지 못해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음식에 들어가는 각종 식품첨가제와 인공조미료는 어린이들의 성격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정서가 불안하고 난폭하며 주의집중이 잘 안 되는 어린이들이 착색료와 향료 등 식품첨가제가 많이 든 음식을 주로 먹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03.12.11 22:22 댓글쓰기
  • 현지아빠

    밥상 지키기 5가지 지침
    △신선한 제철 재료로 음식을 만들자
    △간단한 조리법으로 재료고유의 맛을 살리자
    △쌀밥을 멀리하고 현미밥을 먹자
    △설탕을 줄이자
    △고기반찬만 찾는 아이와의 싸움에서 물러서지 말자.

    2003.12.11 22:23 댓글쓰기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