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부키에서 나온 책 중 권당 가격이 제일 비싸고^^ 제일 두꺼운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무거운 책을 싫어해서 웬만하면 양장을 안 하는데 512페이지라는 만만치 않은 양 때문에 양장을 한 책이기도 하지요. 자유주의 경제학자 13인의 저작입니다.

 

아래 내용은 주간님께서 쓰신 보도자료 내용의 일부입니다.

보도자료 내용이 길어서 그런지 다 올라가질 않네요.

 

 

개인과 사회, 어느 쪽이 우선해야 하는가?

시장 질서는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하는가?

한국의 고유한 자유민주주의 모델은 가능한가?


국내의 대표적인 자유주의 정치학자․경제학자 13인이

공동 연구를 통해 집필한 현대 자유주의 사상의 핵심 !

 

 

 

이 책의 기획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사이의 잠재적이면서도 본질적인 갈등이 한국 사회에서도 노출되고 있다는 전제로 출발했다.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한 필자들은 자유의 가치가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자유화와 민주화가 모두 필요하지만, 현 단계 한국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요청되는 것은 자유주의적 질서를 완성하는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시각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핵심적인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생애와 사상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한국의 자유주의자들이 고민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돼 있다. 먼저 서론인 “자유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한국”에서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념이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 왜 그리고 어떻게 문제가 되고 있는가를 논한다. 이어서 제1부에서는 정치적 자유주의 사상의 발전 과정을 로크(John Locke), 밀(John Stuart Mill), 롤즈(John Rawls), 노직(Robert Nozick)의 사상을 차례로 소개하면서 살펴보고 있다. 제2부에서는 경제적 자유주의 사상의 발전 과정을 애덤 스미스(Adam Smith), 리카도(David Ricardo), 하이에크(F. A. von Hayek), 코오스(Ronald Coase), 노스(Douglass North)의 사상을 차례로 소개하면서 살펴보고 있다. 제1, 2부에서 이들 사상가들을 논하는 이유는 이들이 현대 자유주의 사상의 성립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미쳤거나 또는 현대 자유주의의 대표적 사상가들로 꼽히기 때문이다. 제3부에서는 서양에서 발전한 자유주의 사상의 한국적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 “동양 사상과 자유주의”의 문제, 그리고 “한국에 있어서 자유주의 사상”의 발전 과정을 각각 다루고 있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