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알못이 처음으로 읽어본 '한 권으로 먼저 보는 2020년 경제전망'
2020년의 세계경제의 주요 이슈 6가지, 한국경제의 주요 이슈 7가지,
2020년 산업의 주요 이슈와 2020년 경제전망과 대응전략 7가지
이러한 이슈들의 주제를 조리있게 잘 설명해준 책이라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았다.
한국 경제만 보는 것이 아닌 세계적으로도 경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국 경제도 알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2020년 세계경제의 특징 중 하나는 신흥국과 선진국이 상반된 양상에 놓일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유럽,일본 등과 같은 주요 선진국 경제는 2019년에 이어 2020년에 내림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이나 신흥국들은 2019년저점을 기록한 이후 상당한 수준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측된다.(244P)
2019년 하반기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엔화는 달러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에는 엔화 강세, 유로화 강세, 위안화 약세를 보일 것이다.(249p)
경제를 이해하고자 하는 대중은 경제지표가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비판하기보다 경제지표가 현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바로 인식하자. 언론이나 전문가가 제공하는 경제지표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경제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이해하는 것은 투자나 진로 등의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하다.(128p)
2020년 한국 경제는 수많은 변화에 직면하는 '대전환점'에 놓여 있다. 2020년 세계경제는 아시아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저점에서 벗어나 완만하게 반등할 것이다. 세계적으로 경기부양에 초점을 두고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완화의 시대로 접어들고 2019년에 고조된 긴장감이 2020년들어 상당 부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내적으로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기조 변화, 부동산 시장의 탈동조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급속한 진전 등 구조적 변화에 직면할 것이다. 산업적으로는 수소경제의 현실화, 소재부품 산업의 집중적 투자, 신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 등 탈바꿈된 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25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