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1. 

아홉수라고 다들 겁을 준다. 

나이 한 살 더 먹는 게 뭐 대수나 싶어 무관심하다가도

주변 호들갑에 "의미 있게 뭐라도 해야 하나?"

라는 무언의 압박이 생긴다. 


뭘 하면 기념이 될까 고민하다가 

죽기 전에 금발로 염색해볼까란 호기심이 발동했다가

탈색을 5번을 하고도 머리가 빗자루가 될 거라는 말에 미련없이 포기했다. 


10대엔 백혈병 환아에게 모발 기증을 했으니

20대엔 내 머리카락을 덜 괴롭히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마지막 20대라고 해서 꼭 미친 짓을 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절대 오지 않을 것 같은 30대다. 

딱히 반갑지도 애써 밀어내고 싶지 않은 나이다. 


'20대' 키워드로 

당당한 패기와 젊음이 먼저 떠오르는데, 


'30대'를 나타내는 키워드가 

바로 떠오르는 게 없어서 얼떨떨할 뿐


20살을 앞둔 19살에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30을 앞둔 29살에 떠오른 생각을 적어볼 테다.


지나가는 잡생각이든

탈출구 없는 고민이든

비웃음을 살만한 철없는 생각도 


기승전결 논리정연한 짜임새 있는 글 대신

거칠지만 살아있는 꾸밈없는 글을 최대한 많이 적을테다.


평범한 하루도 '20대 마지막'이라는 

마법의 단어를 앞에 붙이면 특별해진다. 

괜히 모든 게 의미 있고 근사해 보인다.


20대의 마지막인데 

2020년도에 20이 두 번 들어가는 것도 마음에 쏙 든다.

이렇게 신기한 타이밍이!?


2.

작년 내 나이 때 엄마는 나를 낳았다.

그리고 올해 내 나이 때 엄마는 동생을 낳았다. 


세상에서 제일 행복하고 잘한 일이라고 말하는 엄마에게

엄마의 청춘이 아깝다고 했다. 

이렇게 젊을 때, 아이를 둘이나 낳다니!


지금 내 나이에 애가 둘인 게 상상이 되질 않지만,

마음이 조급해져 온다.

내 나이였을 과거의 엄마에게 패배(?)할 줄이야. 


*이미지 출처: 네이버웹툰 <아홉수우리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2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나날이

    시대가 다르니 엄마의 때와는 달리 생각해야 할 듯합니다. 엄마와 직접 시간을 비교해 버리는 것은 어떨가요? 할머니들 때는 일제 시대가 되어 아마 15,6세에 시집을 갔을 듯한데요. 비슷한 나이에 할머니 소리를 들을 수 있을 듯. 그 시대는 그렇게 살고 지금의 시대는 지금대로 산다는 것으로 위안을 삼으면 될 듯합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엄마하고 여행 많이 하십시오.

    2020.01.02 23:49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꿀벌

      나날이님의 말씀 명심하겠습니다. 어제 설날이라 친척들을 만났는데,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든 십대 사촌 동생들이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오지 못해서 아쉬운 마음에 예쁜 연말 카드에 안부 인사를 담아서 보냈는데 저도 모르게 구구절절 할 말들이 많이 생기더라고요.

      지금 엄마, 아빠,오빠, 언니랑 보내는 시간이 나중에 돌이켜 보면 참 짧으니 소중하게 보내라, 화장은 최대한 늦게 시작하는 게 좋지만, 이미 뷰티 유투브 채널에 푹 빠져 있으니 서로 좋아하는 유투브 채널을 공유하자는 등 ㅎㅎ

      어린 친구들보다 나이가 조금 들었다고 딱 나이만큼 더 보이더라고요. 나날이님 역시 제가 보지 못하고 미처 놓치는 것들을 저를 보면 보이겠지요? 이렇게 들러서 한 마디씩 곁들어주시는 나날이님의 말씀이 감사할 따름입니다. 많이 알려주시고 가르쳐주세요.

      마침 1월 말에 엄마, 아빠랑 짧은 여행을 다녀오고자 합니다. 부모님하고만 가고 싶은데, 엄마가 자꾸 할머니도 같이 가자고 하시네요. 외할머니도 아닌 친할머니라 같이 가면 엄마만 고생할 것 같아 싫은 티를 냈는데 부모 마음은 또 다른가 봅니다.

      2020.01.03 00:01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