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3대 사찰로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가 있어 볼보 사찰이라고 하는 통도사를 다녀왔다.
마침 가는 길에 장마비가 조금은 가신듯, 비가 추적추적 왔다가 세차게 왔다가를 잠시잠깐 반복하는 시점에 엄마,언니,그리고 내 딸 하윤이와 함께 통도사 절로 향하는 차에 올라탔다.
통도사의 창건 유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에는 신라의 자장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이 되어 왕명에 따라 통도사를 창건하고 승려의 규범을 관장, 법식을 가르치는 등 불법을 널리 전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니, 참 의외이기도 하다.
통도사의 대웅전, 극락전, 용화전등, 오래된 역사가 있는 만큼 나무의 결이나, 그 모습이 고전적인 면마저 풍겨, 흐릿하면서도 안개낀 듯한 날씨 때문이였는지, 조용한 절에 추적추적 비오는 소리에 오랜 절의 모습과 자연을 끼고 있는 멋진 풍경등이 어우러져 고풍스러움을 더해주는 것 같았다.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여 통도사라 이름을 지였다고 하기도 하고,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戒壇)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고 했다고도 하고, 모든 진리를 회통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고 이름을 지었다고도 한다.


엄마가 가보고 싶다고 해서 여정을 떠났지만, 언니와 내가 오히려 더 힐링하고 왔던 통도사
다음에는 날씨가 맑고 좋을 때 한번 더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