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경제의 공황>
ㅇ 강사 : 김수행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ㅇ 일시 : 2010.06.19 ~ 2010.07.17 (매주 토요일)
ㅇ 장소 : 서울역사박물관 강당
2010.06.19 | 1주 공황의 개념과 역사 |
2010.06.26 | 2주 공황의 원인(1) |
2010.07.03 | 3주 공황의 원인(2) |
2010.07.10 | 4주 1997년의 한국공황과 2008년의 세계공황 |
2010.07.17 |
5주 종합토론 |
제 5강 종합토론
ㅇ사회 : 안현효 (대구대학교 교수)
ㅇ토론 : 이종현 (mbn 해설위원)
신정완 (성공회대학교 교수)
정태인 (경제평론가)
ㅇ응답 : 김수행
오늘로써 김수행 선생님과 함께한 총 5주차의 인문강좌가 막을 내렸다.
처음 강좌를 신청할 때는 과연 몇 번이나 참석할까를 걱정했는데, 개근!할 수 있어서 참 기쁘다.
내가 다 기특하다.
이번 마지막 주는 종합토론 시간으로, 지난 주에 청중들이 적어낸 질문과 토론에 참석한 각 패널들의 발제 및 질의, 그리고 김수행 선생님의 응답의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지난 주에 열심히 적어 제출한 내 질문도 청중 질문3에 채택되어 자료집에 실렸다.
혹시 기억하는가? 작년에 혼자 궁금해 하며 포스팅했던 나의 의문...
('생산의 무정부성'과 초국적 기업의 'SCM 전략')
5주 내내 강연을 들으며 예전에 언급한 바 있는 소위 한국전쟁을 경험한 60~70대의 사람들과의 사고의 격차를 어떻게 좁혀 나가야 할 것인가에 많은 의구심이 들었다.
오늘 역시 박정희 체제의 경제개발, 미국의 해외 전쟁 등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현격한 차이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고, (조금 민감한 문제가 나오면, 혹은 김수행 선생님께서 조금 구체적으로 문제제기를 하면 거의 반사적으로 노골적인 불쾌의 표시를 그 분들은 행했다.) 과연 그들과 어떠한 소통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나갈 수 있을까 실로 막막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우좌지간, 5주차의 모든 과정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나는 끝까지 자리에 남아 5주 동안 고생하신 김수행 선생님께 그동안 강연 잘 들었다는 감사의 말씀과 함께 악수를 청하고 힘있게 손 붙잡고 나왔다.
5주간의 강연.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김수행 선생님'과 함께 그의 강연을 빠짐없이 들었다는 것이 내겐 꽤나 큰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만든다.
다시한번, 5주동안 열정적으로 강연을 진행해 주신 김수행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