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변화를 간과한 채 내부 역량 강화에만 매달리지 말라고 경고하며 거대한 변화에 맞서는 새로운 상상력, 새로운 틀로 대응해야 함을 강조한다.
#홈블랙홀 #핑거클릭 #취향콘텐츠 #생산성포커스 라는 네가지 변화의 키워드를 제시하며 설명한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이 된 집과 온라인 변화의 숨은 의미를 살펴보고, 디지털 셀렉트, 구독, 팬덤, 인플루언서 등을 중심으로 취향 콘텐츠를 다루고, 생산성과 관련해 인공지능, 언택트 솔루션, 로봇 등이 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 분석한다.
ㅡ
p. 138
우리는 코로나 19로 저차원의 굶주림보다 고차원의 굶주림에 대해 알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저차원의 굶주림은 제품과 서비스에 지불한 돈, 고차원의 굶주림은 삶의 목적에 대한 이해라고 했다. 우리는 가끔씩 시간이 나면 '왜 사는가'에 대해 생각하는데, 코로나19는 그 질문을 통해 자신의 취향을 발견할 기회를 제공했다.
ㅡ
마지막 장에서는
코로나19라는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디지털 라이프의 언택트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실행하는 데 있어 어떤 전략이 필요한 지를 제시한다.
#리더십, #데이터, #고객경험, #생산성, #조직문화
리더가 가져야 할 핵심 역량은 무엇이고, 데이터와 고객 경험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산성과 조직문화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설명해준다.
에필로그에서는
언택트 시대의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 고객의 개인화된 가치, 의미, 이 세 가지로 빠르게 변화하는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현상에 집착하느라 본질을 놓치마라고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