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살 남아를 키우고 있는 육아맘으로서 언젠가 성교육을 해야 할 시기가 올 것이기 때문에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라떼는 성교육이란 것도 없었고, 그런 건 쉬쉬 숨겨야만 하고 그저 여성의 순결을 강조했으며, 성에 관해 얘기를 하는 것만으로도 문란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시절이었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사람들의 가치관도 변화면서 성에 관련된 이야기들은 드디어 음지에서 양지로 나올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갈 길은 먼 것 같습니다. 여전히 학교나 여러 기관에선 틀에 박힌 성교육만 의무적으로 행할 뿐 아이들의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제대로 된 성교육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내 아이에게 제대로 된 성교육을 제때 가르쳐 줄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런 시기에 적절하게 만나게 된 김유현 성교육 전문가님의 <머뭇거리지 않고 제때 시작하는 우리 아이 성교육>책은 가뭄에 단비를 만난 것 같습니다. 사실 최근 제가 참 난감한 상황에 맞닥뜨린 적이 있습니다. 최근에서야 그런 용어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지요. 바로 '영유아자위'라는 것 말입니다. 어느 날 아들이 엎드려서 손을 아래로 향한 체 몸을 움찔거리고 있더라고요. 뭐하나 싶어서 들여다보았더니 자위를 하는 것 같았습니다. 자위라는 것은 호기심 많은 청소년이나 성인들만 하는 줄 알았었는데, 실로 충격이 아닐 수가 없었습니다. 와... 이 상황을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너무도 당황스러웠습니다.
당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인터넷 공간밖에 없었기에 검색을 해 보았더니 자기 성기에 대한 호기심, 혹은 심심해서, 기분이 좋아져서, 팬티가 불편해서 등등 여러 이유로 영유아들이 자위를 할 수 있다고 나와있더군요. 그런데 그럴 때 대처하는 방법도 다양하고 달라서 정작 누구 말이 맞는지 더 헷갈리더라고요. 그 후 작가님의 책을 만나고 책을 펼치자마자 목록부터 확인했습니다. 제가 고민하는 내용이 나와있는지 말이죠. 있다! Hooray!! 먼저 그 부분부터 읽어 보았습니다.
자위를 시작한 아이를 바라보는 것이 불편하다면, 아예 그 자리를 피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 자리에서 부담스러운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거나 "그만해라", "병균 들어간다" (저 이렇게 말했었는데 말이죠 ㅠㅠ) 등의 이야기를 건네는 것은 오히려 집에서 하던 자위를 유치원이나 학교 등 외부 장소에서도 하는 2차 자위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자위에 집중하는 아이라면 좀 더 많은 에너지를 쓸 수 있도록 운동이나 바깥 놀이를 하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답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양육자가 아이를 바라볼 때 '잘 자라고 있고 호기심도 많은 아이구나'라는 눈으로 바라봐 주는 것입니다. - 129page
<머뭇거리지 않고 제때 시작하는 우리 아이 성교육> 中
아이를 다그치고 혼을 낸 저였기에 자책도 들었지만 지금이라도 제대로 알게 되어서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딸맘들도 고민이 많겠지만 저와는 다른 성을 갖고 있는 아들맘이라 얼마나 노심초사 더 걱정이 되었는지 모릅니다. 책은 성교육 전문가인 엄마와 딸 해인(태명)이 아들 미르(태명)가 일상 속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성에 대한 이야기들을 대화체로 진솔하게 풀어냅니다. 이를 바탕으로 김유현 성교육 전문가님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좁은 의미의 성교육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확장된 개념의 성교육을 다루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호주제 폐지와 부성 우선주의 원칙, 시스젠더와 트랜스전더, 여성의 가사 노동의 어마어마한 가치, 성인지 감수성, 성차별언어 (유모차가 아닌 유아차, 저출산이 아닌 저출생 등 변화가 필요한 언어들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냅니다.) 존중과 동의, 자기 결정권, 성폭력 등 성과 관련된 굉장히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언어란 그 사회를 반영함과 동시에 그 사람의 가치관도 반영합니다. 우리 주변에선 아직도 성차별적 단어들의 잔재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운전을 못하는 차를 발견하면 "그래 박여사일 줄 알았어, 여자라서 그래" 이런 소리를 주변에서 듣기도 합니다. 여고, 여군, 여의사, 등등.... 이는 향후 우리가, 우리 아이들이 변화되고 개선하고 바꿔야 할 또 다른 과제겠지요. 우리 아이, 내 아이만은 이런 성편견에 사로잡히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내 아들이 건강하고 올바른 성 가치관을 가진 청년으로 자라길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선 가정 내에서 먼저 올바른 성교육이 필요하겠지요. 내 가정 안에서도 무심코 성차별적인 언어를 구사하고 있지는 않은지. 아이가 성과 관련된 것을 물어보았을 때 회피하진 않는지. 우선 부모와의 관계가 좋아야 성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대화를 할 수 있겠지요. 나의 몸과 마음을 존중하는 아이는 타인의 몸과 마음도 존중할 줄 아는 아이로 자라게 됩니다. 각 주제별로 아이와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될 책도 추천되어 있어 한 권씩 찾아서 읽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항상 인지하기 위해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 곁에 두고 읽어야겠습니다.
모두가 아이에게 성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말하지만, 아무리 좋은 설명을 들어도
정작 내 아이 앞에선 꿀 먹은 벙어리가 되는 게 현실입니다. 성교육은 몸 교육과 제대로 된 성 지식이 전부가 아닙니다. 아이들이 무심코 접하는 일상 속에 알게 모르게 숨어 있는 성 인식의 문제들, 다양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자신을 지키고 타인을 존중해야 하는지,
스마트폰의 위험한 성적 유혹은 어떻게 물리쳐야 하는지도 가르쳐야 하지요.
<4~7세보다 중요한 시기는 없습니다> 저자 이임숙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