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오랜만에 김영하의 소설을 읽었다. 매일 긴 시간을 운전해야 했을 때는 그의 팟캐스트도 자주 들었다. 소설 등을 다른 시선에 볼 수 있어 좋았던 기억이 있다. 우연히 잡아 읽게 된 <아랑은 왜>는 나를 김영하의 소설 세계로 이끌었다. 한참 사 모았다. 그리고 그 중 겨우 한 권을 읽고 멈추었다. 고질병이 도진 것이다. 몇 번 쓴 대로 좋아하는 작가들의 책을 사놓고 묵혀두는 나쁜 병 말이다. 그렇게 언젠가 읽어야지 하다 보니 시간이 상당히 흘렀고, 방송 때문에 그의 인지도가 엄청나게 올라갔다. 신작들을 위시리스트에 올려놓았다. 그냥 출간된 책들에 관심만 두었다. 그러다 기회가 되어 7년 만의 장편을 읽게 되었다.
솔직히 말해 이 소설을 장편으로 분류해야 할지 의문이다. 편당 활자가 촘촘한 책의 기준으로 편집하면 겨우 100~120쪽 정도면 충분할 것 같기 때문이다. 아마 중편 소설 정도로 분류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은 아직 인터넷 서점에는 정보가 올라와 있지 않다. 전자책 플랫폼 밀리의 서재에서 낸 종이책이기 때문인 듯하다. 한참 동안 인터넷 서점에서 책 정보를 검색했다. 언젠가는 되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이 소설을 빠르게 읽고 싶은 독자들은 밀리의 서재로 달려가야 할 것 같다. 영리한 마케팅이다. 어쩌면 새로운 방식의 출판과 마케팅인지도 모르겠다.
김영하가 풀어낸 SF소설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조금 실망이다. 미래와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놓는데 분량 탓인지 깊은 이야기가 빠진 채 요약만 넘실거린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데는 내가 SF팬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 소설 속 주인공인 철이가 인간이 아닌 휴머노이드라는 이유로 체포되어 겪게 되는 이야기도 확장되지 않고 간략하게 다루어진다. 자신이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살아가는 안드로이드의 이야기이지만 구체적인 설명이 상당히 빠져 있다. 내가 아쉬움을 느끼는 대목 중 하나가 바로 이 부분이다. 빠른 전개로 재밌게 빠르게 읽을 수 있지만 말이다.
첫 이야기에서 천자문의 몇 글자를 뜻풀이한다. 현학적 시작이지만 다시 한 번 천자문을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미래의 한국을 배경으로 인공지능을 다루는 회사에 근무하는 아버지와 함께 사는 철의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평범한 가정의 일상을 보여주다가 철이 등록되지 않은 안드로이드란 이유로 체포되면서 분위기가 바뀐다. 그리고 현실에 대한 설명들이 나온다. 휴머노이드 등록법이 생겼고, 등록되지 않은 안드로이드 모두 한 곳으로 모은다. 이곳에서도 철은 자신이 인간이란 생각을 버리지 못한다. 살아남기 위해 안드로이드인 척만 한다. 선이와 민이를 만난 곳도 이곳이다.
통일 후 한국을 그려낸 부분 중 눈길을 끄는 부분은 있다. 대도시를 제외한 중소도시의 몰락이다.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과학의 발전은 인간형 안드로이드를 만들어내고, 곳곳에서 이들을 이용한다.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안드로이드는 자는 동안 리셋이 되어 자신이 안드로이드란 사실을 잊는다고 한다. 전투형 안드로이드가 이 장소에서 싸움을 벌이고, 자신들의 파괴된 신체 부위를 교환하거나 약탈한다.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안드로이드의 팔을 잡아빼는 장면은 아주 강렬하고 섬뜩하다. 인간이란 착각을 깨트리려면 실체를 바로 봐야 한다. 폭력적이지만 가장 빠른 방식이다.
철의 아버지는 인공지능이 계속해서 자기학습하는 것을 반대한다. 인간과 대립할 것이란 생각 때문이다. 종말을 다룬 영화 등에서 자주 본 설정이다. 하지만 이 소설은 그런 식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인간의 멸종은 인간에게서 비롯한 것임을 보여준다. 재미난 표현 중 하나가 나오는데 ‘플라스틱과 닭뼈’를 남겼다는 문장이다. 이야기는 다시 기억과 육체의 문제로 넘어간다. 인간들이 자신의 뇌를 업로드하는 일이 벌어진다. 철이가 네트워크에서 안드로이드 신체로 내려가는데 가장 먼저 느끼는 것은 감각이다. 사실 이 감각도 뇌의 영역이다.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든 생각 중 하나는 이 거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나 에너지는 어디에서 조달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