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uthor Kate DiCamillo has never failed to please me. Actually, I didn’t expect this book to be a lot interesting for me. Because it seems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is book is a dog which I usually don’t have any attention to. Of course, I like to see cute things, but that’s all. I’d rather read something about human. Something inside me. I want more than an animal story. It’s like a guardian angel for the main character.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have their own sad stories. I don’t believe that there is anybody who hasn’t experience serious things in their lives. The author leads us to see others who are in different agony but suffer from it in the same way. So we should look around surroundings and comfort one another. However, there is always hope that if we have empathy for one another, human can live through those sufferings. That’s why we live together.
As to the dog, Winn-Dixie, why does the author bring him to the lonely girl? No. Actually, she didn’t bring him to Opal. They meant to meet each other, because loneliness knows loneliness. As soon as they got together, they had courage to be through some difficulties like making her ask her dad about her mom, or Otis that she could work at the pet shop for her dog’s commodities. At the end, Opal invited the brothers to the party although she weren’t willing to. Eventually, they might know how to be friends with others.
I like the story and ending, though there isn’t lots of ups and downs in it. This book is easy and short for children and students to read. I strongly recommend this book to anybody.
다 읽는 데 대략 두 시간 조금 더 걸린 것 같다. 쉬엄 쉬엄 바다를 보면서, 내가 사랑하는 여름구름이 가득한 하늘을 보면서, 아이가 깔깔 웃으며 노는 것도 보면서 읽었다. 여백도 넓고 줄 간격도 넓고 글자도 큰데다가 두께도 180페이지 정도라 금방 읽을 수 있었다.
사실 내용을 완전히 오해하고 있었다. 표지와 제목만 보고 책 전체 내용이 개가 주인공이고 개가 뭔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해피엔딩을 맺는 이야기라고 착각했다. 워낙 동식물들에 관심이 없는 편이라, 책도 영화도 심지어 그 좋아하는 만화책이나 웹툰도 동물들이 나오는 건 보지 않는다. 사실 인간 자체와 나의 내면에 관심이 더 많아서 아마 그런 쪽에 관심을 기울일 여력이 없는 걸지도. 어쨌든 그래서 관심 없었는데 이번에 북커스 모임 책으로 선정되면서 읽게 되어 참 다행이라 생각했다.
이 책은 슬픔과 아픔에 관한 책이다. 슬픔과 아픔이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를 보듬으며 힘을 주고 성장할 수 있는 용기를 내며, 그 슬픔과 아픔을 껴안고 살아가는 삶을 보여주는 책이다.
- “Sorrow,” Miss Franny said. “Not everybody can taste it. Children, especially, seem to have a hard time knowing it’s there.” (114)
특히 그 중에서 우리가 가장 슬프고 아플 때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일 것 같다. 이 책에서 나오는 인물들 대부분이 소중한 사람이나 무언가를 잃어버린 경험이 있다. 자신의 작은 도서관의 사서인 Miss Franny와 마녀라고 놀림 받으며 혼자 지내는 Gloria 할머니의 경우 말해 무엇하리. 그들은 혼자 살면서 항상은 아닐지라도 외로움 속에서 살고 있었다. 주인공과 주인공의 아빠는 엄마가 떠났다. 항상 이상한 표정을 짓는 Amanda는 작년 5살 밖에 되지 않은 남동생을 잃었고, Otis아저씨는 그렇게나 사랑하는 음악을 할 권리를 박탈 당했다. 그런 사람들이 모인 이야기이다. 자신이 가진 슬픔을 다른 사람들이 알아봐줄 때, 나만 외로운 게 아니라 세상의 여러 사람들도 외롭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 우리는 위안을 얻게 되고, 마음의 짐을 덜어놓고, 스스로와 서로에게 따스함이 되어 줄 수 있다.
- There ain’t no way you can hold on to something that wants to go, you understand? You can only love what you got while you got it. (159)
- “Do you think everybody misses somebody? Like I miss my mama?” (…) “I believe, sometimes, that the whole world has an aching heart.” (134)
Miss Franny의 사탕에서 슬픔의 맛이 느껴지는 건, 어쩌면 그들만이 슬픔과 고통을 겪었기 때문이라기 보다, 자신의 슬픔을 아는 이들이기 때문이 아닐까? 세상을 살면서 슬픔이나 고통을 겪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의 삶은 언제나 굴곡이 있고, 무조건 좋은 것만, 내가 바라는 것만 하며 살 수는 없다. 그저, 그런 상황을 내가 겪고 있음을 받아들이고,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받아들이며 서로가 그런 삶을 살고 있다는 걸 알아주기만 하면 되지 않을까?
- My daddy is a good preacher and a nice man, but sometimes it’s hard for me to think about him as my daddy, because he spends so much time preaching or thinking about preaching or getting ready to preach. And so, in my mind, I think of him as “the preacher.” (13)
- “When I told you your mama took everything with her, I forgot one thing, one very important thing that she left behind. (…) Thank God your mama left me you.” And he hugged me tighter. (167)
그게 Opal과 아빠와의 모습인 것 같다. 초반에 아빠를 아빠라고도 여기지 않고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는 것도 두려워했다. 하지만 윈딕시 덕분에 아빠와 마음의 벽을 허물고 서로를 안아주는 장면은 예상했으면서도 막상 그리 되니 참 따스하고, 다행이다 싶은 마음이다.
도서관 사서의 사탕에서 슬픔의 맛이 났던 것처럼, 모든 일에는 단맛과 슬픈 혹은 쓴 맛이 공존한다. 좋은 일만 일어나길 바라지만, 슬픔이 있기에 기쁨이나 즐거움과 같은 다른 감정도 알게 되고, 여러 일이나 상황에서는 보통 그 두 가지 면을 다 갖고 있으리라. 슬픔의 맛에만 현혹되지 말고 Miss Franny의 할아버지가 왜 하필이면 사탕을 만들려고 했는지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전쟁 직후 폐허가 된 자신의 집 앞에서 울고 또 울고 나서 문득 단 것을 먹고 싶었던 할아버지. 그렇게 자신의 상황이라는 슬픔과 단맛을 동시에 드러낼 수 있는 사탕이라는 소재를 쓴 게 아닐까? 그 사탕의 오묘함처럼 우리의 삶도 참 오묘한 것 같다.
Gloria 할머니는 Opal이 엄마를 닮아 식물을 잘 키우는 사람일 수도 있으니 도전해보자며 씨앗을 심게 한다. 그리고 그 나무 종류를 ‘wait-and-see’라고 알려준다. 어떤 나무일지는 자라봐야 아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일들도 그렇다. 우리가 행동하는 것들이 반드시 예상하는 결과물로 안 나올 수도 있다. 정확히는 우리 삶에 뭐가 나타날 지 모른다. 시간이 지나 봐야 알 수 있고, 그 결과물을 볼 때까지 그저 물을 주고 햇빛을 쪼이게 해주고, 관심을 주며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는 것뿐이다.
- “It’s a wait-and-see tree,” she said. (…) “It means you got to wait for it to grow up, because you know what it is.” (69)
- “We can’t worry about what might have happened. All we can do is keep looking.” (162)
일어날지 안 일어날지도 모르는 것들을 미리 걱정할 것이 아니라, 그저 계속해서 지켜보고 관심을 가지고 내가 할 일을 하는 것뿐이다.
책 전체에 좋은 문장들도 비유가 찰진 문장들이 참 많았지만, 개인적으로 마지막 문장에 인생에서 무척 중요한 요소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 And I listened careful, so I could learn it right. (182)
바로 경청하고 알아가는 것. Learn이라는 단어를 처음에는 단순히 ‘배우다’라고 외우지만, 사실 원서에서 쓰여지는 뉘앙스로 본다면 ‘배워서 알게 되다’로 봐도 좋다. 이는 지식적인 측면에서 탐구하면서 알아가는 것도 포함하지만, 타인과 세상을 알아가는 것도 해당한다. 주의 깊게 들으면 그것에 대해서 right, 올바르게 알 수 있게 된다. 상대를 오해하지 않고 잘 알기 위해서 경청이 꼭 필요한 것이고, 이는 삶에서 놓쳐서는 안 되는 아주 중요한 요소다.
- I can’t see nothing but the general shape of things, so I got to rely on my heart. Why don’t you go on and tell me everything about yourself, so as I can see you with my heart. (66)
- And because Winn-Dixie was looking up at her like she was the best thing he had ever seen, and because the peanut-butter sandwich had been so good, and because I had been waiting for a long time to tell some person everything about me, I did. (66)
- I loved him because he was going to forgive Winn-Dixie for being afraid. But most of all, I loved him for putting his arm around Winn-Dixie like that, like he was already trying to keep him safe. (78)
- But in the meantime, you got to remember, you can’t always judge people by the things they done. You got to judge them by what they are doing now. You judge Otis by the pretty music he plays and how kind he is to them animals, because that’s all you know about him right now. (96)
- I didn’t want him to be lonely. Sometimes, it seemed like everybody in the world was lonely. (132)
- Time after time, my mind kept going to that empty spot, the spot where I felt like she should be.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