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read <A boy called Christmas> during holidays in California. It was like a folk tale, which explains how Santa Clause gives children presents. I have no memory that I got any gifts on Christmas Days. It was because we were not rich and had no religion. My parents were not the kind of people who celebrated special days. So they may not have thought that I wanted to do. Anyway I have an empathy for young Nikolas. So it was not much interesting for me.
I’d like to say the story is about rightness and calling. Nikolas insists on rightness although the price is his father’s life. He saved the kidnapped elf and became Father Christmas for elves. He knows that rightness is the only way to live in. That’s not all. Though he did lots of things for elves, which made the elves happy, he couldn’t stop thinking about what he should do. He feels emptiness in his life. He seeks to know what to do for himself, and eventually he realizes that he’d better live for other human children. That’s how Santa Claus gives away present to children on Christmas.
------------------------------------
(읽고 한참 뒤 리뷰라 차분해져쑴)
전천후 Matt Haig다. 성인 소설에 이런 동화 같은 소설. 에세이도 몇 편 펴내고. 많은 걸 경험한 작가라서 그런지,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데 능한 작가인 듯 하다. 북커스 독서모임에서는 작년에는 따끈따끈한 신상인 <Christmas Pig>를 읽었고, 올해 크리스마스 책으로 Matt Haig의 <A boy called Christmas>를 읽었다. Father Christmas 라는 사람의 이야기로 봐야할 것 같은 이 이야기. 구전동화처럼 권선징악이 뚜렷하고, 어렵고 추상적인 내용을 아이들의 시선에서 쉽고 간결하게 잘 설명해둔 것 같다.
이 책은 3가지 논점에서 이야기 할 수 있을 것 같다.
- 불가능과 마법
- A drimwick is a hope spell. You just close your eyes and wish for something, and if you wish in just the right kind of way you can make it happen. (77)
- An impossibility is just a possibility you don’t understand yet… (78)
- To see something, you have to believe in it. Really believe it. That’s the first elf rule. You can’t see something you doesn’t believe in. Now try your hardest and see if you can see what you have been looking for. (79)
- Impossible. / That was what Father Topo had meant, he realized. / That was the point of magic, wasn’t it? To do the impossible. (124)
동화 같은 이야기에다가, 아이들을 위한 책이다 보니 불가능은 불가능하지 않다는 희망적인 이야기가 나온다. 마법과 불가능은 동일 선상으로 보았을 때, 둘 다 일어날 수 없는 일로 치부해버리면 아이들에게는 너무 삭막한 세상이 아닐까. 지레 겁먹고 안 된다 불가능하다고 이야기 하는 것보다 가능성이 있든 없든 자신의 최선을 다하는, 일어나길 믿고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요점이 아닐까. 안 보이던 엘프 세상이 진심으로 믿으면서 볼 수 있게 된 것처럼.
- 올바른 일
- You’re a child, and I’m not, and I know about the world. It’s a selfish place. No one will look after you. You have to look after yourself. And that’s what I’m doing, all right? No one was ever kind to me. No one ever gave me presents. I used to cry, every Christmas Day, because I never got a single thing. Other children had at least one little present from their parents. But me and Carlotta, we had nothing. (152)
- But nothing was as wonderful as doing the right thing. (155)
현재의 상황이 얼마나 끔찍한지가 나쁜 일을 해도 된다는 근거가 될 수 없다. 니콜라스의 집이 무척 가난했고, 제대로 된 삶을 살기 힘들었지만, 니콜라스는 무엇이 옳은 일인지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런 니콜라스에게 영향을 받아 아빠도 결국은 잘못된 일에서 옳은 일로 돌아오게 된다. Just do the next right thing 이라고 노래 불렀던 안나가 떠오르면서 어떤 순간에도 올바름을 선택하는 니콜라스. 그리고 아름답고 밝은 아이들의 동화 같은 이 책에서도 적합한 소재 같다.
- 소명
- He knew that anyone with elf magic inside them never grew older than the age where they were truly happy with themselves. (203)
- ‘Sometimes,’ she said, as her eyes shone wide and bright, ‘people look up to people not for who they have been, but for what they could become. For what they know they could be. They see in you something special.’ (215)
- Belief was the method. (…) It was the feeling that come when you find out who you really are, and who you know you will be. And in finding himself he had stopped growing old right there. The way you stop when you reach a destination after a long journey, or after reaching the last page in a book, when the story is complete and stays that way for ever. And so he knew that he ? the man called Christmas, who really still felt as young as ever, a sixty-two year old boy called Christmas ? wouldn’t age another day. (230)
Father Christmas가 된 니콜라스는 그 이후 아주 긴 시간동안 엘프 마을을 다스리면서 자신의 소명에 대해서 생각한다. 소명이라는 단어를 내가 쓰긴 했지만, 책에서는 아주 명료하게, 진정으로 행복한 일을 찾으면 늙지 않는다고 나온다. 이게 소명이 아니고 무엇이랴.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으면 그 때부터 늙지 않고 영원히 행복한 일을 하고 살게 된다.
니콜라스의 소명은 타인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었다. 그것이 처음에는 엘프들에게 향했으나 거기서 끝나지 않고 인간 아이들에게도 뻗어나갔다. 자신의 어린시절에 엄마와 아빠가 직접 만들어준 두 개의 선물(튜닙 인형과 썰매), 자신의 아버지는 단 한번도 받지 못했던 크리스마스 선물을 아이들에게 나눠주기를 바랐다. 갖고 싶은 걸 가질 수 없었던 자신의 가난으로 인해 아이들이 얼마나 원하는지 알 수 있으리라. 그렇게 산타할아버지의 선물 나눠주기가 시작되었다.
니콜라스는 자신의 소명을 찾는데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찾았다는 게 중요하다. 우리 중 몇 명이나 자신의 소명을 절실히 깨닫고 평생을 그에 맞춰서 살아가는가. 나 또한 인생의 목표에 대해서 생각이 많은 요즘 자신의 소명을 마침내 찾아낸 니콜라스가 부럽기만 하다. 나도 픽시가 해주는 것처럼 진심 어린 조언과 여러 강의가 필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