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망명(亡命 : refuge) 생활을 했던 중이(重耳)는 진(晋)나라 문공(文公)이 되었습니다.
문공(文公)은 즉위(卽位 : ascend)한지 2년이 지난 어느날!
원(原)나라를 공격(攻擊 : attack)하기로 결정(決定 : decision)을 하게된답니다.
출전(出戰)에 앞서 문공(文公)은 병사(兵士)들에게
10일분의 식량(食糧 : food)을 지급(支給 ; give)하면서 다음과 같은 약속(約束 : promise)을 했습니다.
"이번 전쟁(戰爭 : war)은 10일 동안의 싸움이다. 10일이 지나면 원나라를 공략(攻略 : attack)하든 못하든 상관 없이 싸움을 그만두고 철수(撤收 : evacuation)를 할 것이다."
진(晋)나라 군사(軍士)는 일제히 원나라를 공격(攻擊 : attack)했습니다.
그러나 원나라의 성(城)은 너무나도 견고(堅固)해서 쉽게 공략(攻略 : attack)을 할 수가 없었답니다.
5일이 지나고 7일이 지나, 10일이 되어도 성(城)을 함락(陷落)시키지 못하였답니다.
그래서 문공(文公)은 약속(約束 : promise)한대로 군사(軍士)를 전선(戰線)으로부터
철수(撤收 : evacuation)시키려 했습니다.
대오(隊伍)를 갖춰 철수(撤收 : evacuation)를 하자,
원나라의 성(城)에서 한 병사(兵士)가 뛰어나와 이렇게 외쳤습니다.
"3일만 더 공격(攻擊 : attack)을 하면 원(原)의 성이 항복(降服 : surrender)하게 될 겁니다."
"지금 성(城) 안에는 식량(食糧 : food)도 떨어졌고, 전의(戰意 : fighting spirit)도 상실(喪失 : loss)하였습니다. 철수(撤收 : evacuation)를 조금만 더 기다리셔야 합니다."
이말은 들은 진나라의 장수(將帥)들이 철수(撤收 : evacuation)하지 말고 계속(繼屬 : continuously)해서 공격을 하자고 했지만, 문공(文公)은 단호(斷乎)히 결단(決斷 : decision)을 내렸습니다.
"난, 10일간의 전투(戰鬪 : combat)를 약속했다. 이제 10일이 됐으니 철수(撤收 : evacuation)를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난 신의(信義 : faith)를 잃게 된다.
물론 앞으로 3일 동안만 버티면 성(城)은 틀림없이 함락(陷落)될 것이다.
그러나 원(原)을 얻고 신의(信義 : faith)를 잃는 따위는 나로서는 할 수 없는 일이다."
문공(文公)은 그대로 병사를 거두고 철수(撤收 : evacuation)를 했습니다.
원(原)나라 성안에 있던 사람들이 이 소식(消息 : news)을 듣고
"이렇게 신의(信義 : faith)에 두터운 군주(君主 : monarch)가 계시는데
어찌 항복(降服 : surrender)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며 항복(降服 : surrender)할 것을 통고 해 왔다고 합니다.
문공(文公)은 그것을 받아들여 원을 조쇠(遭衰)의 봉읍(封邑)으로 했습니다.
아침에 한 말 다르고 저녁에 한 말이 다른 사람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世上)에는 참 많습니다.
급해서 한 말과 목적(目的 : purpose)을 이루고 나서 하는 말이 달라서는 절대(絶對 : absolutely)로 신의(信義 : faith)를 얻을 수가 없답니다.
우리 모두 신의(信義 : faith)를 천금 이상으로 여길 줄 아는 그런 삶을 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