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좋아하게 된건 교회 찬양팀을 하게 되면서였습니다. 다들 프로 세션들이고 음악을 전공하고 있는 팀원들이라 연습 시간이 매주 저녁 늦은 시간부터 새벽까지 하다보니 자연스레 새벽 시간에 연습이 끝나면 커피를 마시러 가곤 했죠. 커피를 잘 안마셨는데 어울리다보니 자연스럽게 마시게 됐고 지금은 집에서 매일 브루 커피(핸드드립)를 내려 마시는 수준이 됐습니다.
몇 년 전 커피 일일 강좌가 있어 아내와 함께 들으러 갔었는데 그 때 커피의 신기한 맛의 변화를 경험하고 커피를 새롭게 보게 됐습니다.
똑같은 원두를 가지고 커피를 내렸는데 맛과 향이 너무 많이 차이가 나서 깜짝 놀랐거든요. 눈 앞에서 벌어진 상황이 이해가 안 갈 정도였으니까요. ㅎㅎ
그런데 브루잉 하는 과정을 통해 내려지는 커피를 마신 뒤에는 영접(?)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정말 놀라운 맛과 향의 변화가 마술 같았거든요.
그 후로 드립 커피 용품을 사고 원두를 사서 직접 갈아 내려 보면서 커피를 즐기고 있는데요. 내리면 내릴 수록 더 잘 내리고 싶다는 마음이 강해졌습니다.
강좌도 찾아보고 내리는 방법들도 수없이 보면서 연습하고 말이죠. 오프라인에서 하는 강좌도 듣고 싶은데 시간이 맞질 않아 찾아가진 못했지만 시간만 맞는다면 찾아가 듣고 싶을 정도니까요.
그런데 이 책은 그런 커피를 내리는 과정, 방법, 브루잉 노하우를 알려주는 책이 아닙니다.
한 잔의 커피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과학이다.
왜 같은 원두를 가지고 커피를 내리는데 어떨 때는 쓰고 텁텁하며 어떨 때는 향과 맛이 좋을까?
단순히 바리스타가 내리면 맛있고 일반인이 내리면 맛이 없다는 수준에서 대답을 해버리면 그만이지만 일반인들도 브루잉(핸드드립)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고 전문가 수준의 식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그런 그들조차 어떨 때는 맛이 쓰고 어떨 때는 과일의 향미가 끝까지 입 안을 감도는 커피로 내려지게 만들기도 하는 그 오묘함.
이 책은 "당신이 그렇게 매일 같이 마시는 한 잔의 커피를 좀 제대로 알자." 라고 말합니다. 몇 천원을 내고 무슨 맛인지도 모르면서 습관처럼 마시는 사람들이 아닌 커피를 사랑하고 원두의 종류를 알고 어떻게 내리면 되는지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정말 재밌게 읽을 수 있습니다.
커피나무를 심고 커피 열매를 따는 과정까지는 우리가 관여 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은 책을 통해 알게 됩니다. 커피의 역사를 알아가는 즐거움이 앞 부분에 있죠.
본격적으로 커피를 내려 마시는데 있어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원두의 특징, 로스팅 과정, 배전도, 물의 온도, 분쇄도 등은 물론 커피 기구, 커피 잔, 내리는 방식 등 커피에 관한 모든 것이 이 책 한 권에 담겨 있습니다.
커피를 내리는 방법 등도 소개가 되어 있지만 짤막하게 그림과 함께 소개 되어 있어 참고가 되는 수준이지만 커피에 대한 이해는 이 책 한 권에 모두 담겨 있다고 하겠습니다.
드립으로 커피를 내려보면 일정한 맛을 내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느끼게 됩니다. 커피만큼 정확한 용량과 정확한 온도와 속도가 필요한 음료가 또 있을까 싶습니다.
버튼만 누르면 나오는 커피 머신 조차 일정한 맛을 만들어내기 위해 연구된 결과물이라는 것을 생각해봤을 때 커피의 숨겨진 매력을 알아가는 과정은 정말 흥미롭습니다.
커피를 내리는 방식 중 카우보이식 커피를 내리는 방식이 있는데 한 번 따라해보고 싶더군요. 맛이 어떨지 궁금합니다.
커피를 좋아하고 커피의 향과 맛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볼만한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