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꿈을 찍는 사진관

[도서] 꿈을 찍는 사진관

강소천 등저/이승원 그림

내용 평점 4점

구성 평점 4점

‘요정이 있었으면 좋겠다, 내가 요정이었으면 좋을 텐데. 내가 마술을 부리면 좋겠다.’ 일곱 살 난 딸아이가 요즘 자주 하는 말들이다. 초등 언니들처럼 인라인 스케이트를 잘 타고 싶은데 생각만큼 쉽지 않으니 요정이 되고 싶은 거고(요정 가루만 있으면 금방 언니들처럼 잘 탈 수 있게 될 테니) 한글공부 하기 싫을 때면 마법사가 되면 힘들여 공부하지 않아도 마법으로 모든 걸 알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단다. 너무 귀엽고 순수한 생각.  이런 생각을 하는 것도 유전인가?


그러고 보면 나도 예전에, 딸아이와 비슷한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나는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에 초등학교를 다녔는데 한참 패스트푸드가 유행하던 시절이었다. 그때만 해도 치킨이나 햄버거는 특별한 날에 부모님을 졸라 먹을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는데 유독 식탐이 있던 나는 종종 그런 음식들이 먹고 싶었다.

자주 먹을 순 없고, 먹고 싶기는 하고. 그 때 내가 한 행동은 햄버거며 치킨이 등장하는 광고지를 보며 ‘나와라 얍~’하며 주문을 거는 것, 그리고 그 음식이 내 앞에 나타난다고 상상하는 것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웃음 밖에 안 나오는 황당한 행동이지만, 그 시절 내게는 재미난 놀이 중 하나였다. 물론 어느 순간부터 그런 놀이대신 좋아하는 오빠에게 잘 보이고 싶어 엄마를 졸라 매일 머리 모양을 다르게 하는 데에 관심을 쏟았지만.


유치하지만 귀여웠던 행동도 좋아했던 그 오빠도 이제 기억에서 가물가물한 옛 이야기가 되었지만, 그 시절 학급 문고에 꽂혀있던 『꿈을 찍는 사진관』은 내가 이만큼 자라고 변하는 동안에도 그대로 남아있었다. 오래된 몇 편의 동화들은 비록 지금은 동심을 잃고 어지간한 일에는 감동하지 않는 무딘 어른인 내가 한 때 요정과 마법을 믿던 순수한 어린 아이였다는 사실을 떠오르게 만든다. 어릴 적 읽던 동화를 다시 읽는 다는 것은 묘한 기쁨과 아련함과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개와 고양이가 서로 으르렁 대며 살게 된 이야기인 이정호의 「이상한 연적」, 꽃씨로 전쟁을 벌인 두 나라 이야기를 그린 김성도의 「대포와 꽃씨」, 6.25전쟁으로 고아가 된 아이와 화가 아저씨의 우정과 사랑을 그린 강소천의 「무지개」, 전쟁으로 많은 것을 잃은 사람들에게 그리운 이들을 만나게 해주는 사진관 이야기인 표제작「꿈을 찍는 사진관」등이 실린 『꿈을 찍는 사진관』은 쓰여 진지 몇 십 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다.


딸아이에게 자기 전 들려줄 이야깃거리를 구하다가 재회한 책인데 오히려 내가 더 흥분하게 되었다. 따뜻한 봄 날, 춥지도 덥지도 않은 딱 좋은 산들바람 맞으며 잔디에 앉아 있는 것처럼 편안하고 기분 좋은 느낌이다.  요새 유행하는 동화와는 분위기도 주제도 다르지만 여전히 아이들에게 읽히기 좋은 동화들이어서 역시 고전은 시대를 관통한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된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