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전체검색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자본주의 키워드 50

[도서]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자본주의 키워드 50

조너선 포티스 저/최이현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부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당신에게 지금 꼭 필요한 가장 간결하고 정확한 안내서


이 책의 저자 조너선 포티스
런던 킹스칼리지 경제학과 교수, 옥스퍼드대학 수학과 졸업, 프린스턴대학에서 경제 및 공공정책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영국의 국립경제사회연구소 수석 연구원과 원장 역임. 광범위한 경제 이슈를 연구하며 다수의 언론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BBC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TV 채널에서 경제 논평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자본주의에 대한 좋고 나쁨을 이해시키고 향후 찾아올 변화를 예측하는 것 보다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원리와 사회주의, 제국주의, 정치의 핵심 개념들과의 관련성을 설명하며 위대한 현대 사상가들 (애덤 스미스, 존 메이너스 케인스, 카를 마르크스)이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소개합니다.


자본주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결정이 개인에게 있을 것, 이것이야말로 자본주의의 핵심 개념


미래을 생각하면 상황은 더욱 암울하다. 과학기술의 진보와 자동화는 오늘날 기술 수준을 낮거나 보통인 노동자들에 대한 필요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해 자본의 한계 생산력은 증가하지만, 노동력의 한계 생산력은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미래의 성장 수익은 자본가에게 더 많이, 노동자에게 더 적게 돌아갈 것이다.


보이지 않는 손- 사람들이 개인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더라도 결국에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 전체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 최근에는 외부 효과, 즉 시장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 경제 효과가 문제로 등장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지구 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도록 단속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환경오염을 유발한 사람에게 비용을 물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여러 나라들이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자본 투자를 늘리는 데 집중했지만, 오늘날에는 교육과 기술등 인적 자본과 각종 제도, 지배 구조 등에 훨씬 많이 집중한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중점 목표는 달라지지만, 성장은 거의 항상 대부분의 나라에서 핵심 과제다


기업가를 순전히 자신의 의지와 힘만으로 성공한 뛰어난 개인으로 생각하거나 운이 좋아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장소에 있었을 뿐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기업가는 성공적인 경제와 사회의 필수 요소이면서 경제와 사회에서 분리될 수 없는 일부이기도 하다. 교육에서 복지까지 정부의 모든 정책이 기업가를 돕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하므로, 기업가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자본주의가 생산.분배.교환 수단이 사적으로 소유되고 통제되며, 무엇을 생산할지를 민간 소유주가 결정하는 시스템이라면, 사회주의는 노동자들이 생산 수단을 소유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사실을 말하면 그렇다. 오늘날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행복과 삶의 만족도, 웰빙을 연구하는 대형 경제 연구기관들이 있다. 간단히 말해 앞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예스이다. 평균 소득이 높은 나라일수록 행복 수준이 더 높고, 같은 나라에서도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조사되었다.


이민자가 떠나온 나라, 그 나라들은 이민자들이 고향에 송금하는 돈과 그 돈으로 인한 거래 증가로 이익을 얻는다. 인도에서 미국으로 온 이민자들은 캘리포니아의 실리콘밸리는 물론, 인도 벵갈루루의 IT산업이 발전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기계화와 전산화가 점점 더 확대되는 시대에 인간은 정말 로봇에 일을 전부 다 빼앗길까?자동화로 인해 자본력과 노동력 사이의 균형추가 자본에 유리한 쪽으로 영원히 옮겨갈 위험이 있다. 노동자들은 계속 일할 테지만, 그들 중 상당수가, 아니 어쩌면 대부분이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낮고 덜 중요한 일을 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일상에서 자본주의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우스갯 소리로 자본주의 미소니 어쩌니 하면서 돈과 관련된 말을 많이 쓰죠. 자본주의는 어떻게 생각하면 탐욕이나 이익적인 부분으로 강하게 느껴지지만 그로 인해 부를 얻고 성장을 하는 요소이기도 해요.

부가 지배하는 지금의 자본주의 사회. 나는 부의 자본주의 체제에 참여자인지 노동자로서의 돈에 의존한 소비자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부정적인 이미지와 잘못된 상식을 바로 잡아줄 책. 그 원리를 안다면 지금 살아가는 이 시대를 좀 더 제대로 이해하며 살수 있지 않을까요?

새로운 세상에서는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이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클라우스 슈밥-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