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되면 학교에서 교육과정 수립 업무를 맡은 담당자는 다음해의 학교교육과정을 짜기 시작합니다. 교육청의 연수, 컨설팅으로 기본 방향을 잡고 교육공동체와의 협의를 통해 비전을 설정하고 영역별 교육목표를 설정한 후, 세부적인 내용을 짜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학교 교육과정은 11월부터 2월까지 긴 시간동안 공들여 수립하는데, 학급 교육과정은 2월 말부터 3월 초 까지 1~2주 사이에 짜잔! 하고 끝납니다. 우리에게 학급 교육과정이란 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비전, 목표를 설정하고 교과 진도표를 시수에 맞게 짜서 1년을 계획하는 것 입니다.
이 책에서는 이런 학급 교육과정을 넘어 교사 교육과정으로 갈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수없이 들었던 교수평기 일체화와, 과정중심평가 적용을 예시로 들었고,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이 들어있습니다.
저는 학교의 교육계획을 3년동안 수립하면서 교육과정의 문해력에 대한 감이 생겼는데, 이 책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었습니다.
학교에서 처음 교육과정을 수립해야하는 교사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습니다.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수립 및 실행할 수 있는 교사가 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