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는 인플레가 지속되어 왔다. 그래서 부동산에 투자를 하면 무조건 돈을 벌었고 잘 사는 사람들이 되었는데, 일본은 플라자 합의후 엔화강화세로 인하여 이후 주식과 부동산 등 80%이상씩 급락하여 30년이 지난 지금도 그 전 가격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도 인구절벽, 가계부채 급증, 등 일본과 같은 처지가 될 것이므로 21년 주식, 부동산 대폭등 후 긴 디플레에 빠져 들어서 결국에는 월세 투자자는 월세 연수입보다 부동산 하락폭이 더 커서 손해를 보고, 해외에 투자한 돈은 엔화강세로 인하여 환차손이 너무 많아 일본내로 진입하지 못하고 위기시에 엔화약세가 되면 진입하려다 보니 다시 엔화강세가 되어 해외에 머무르는 유령달러가 되었고, 갭투자 또한 인플레시절에는 돈이 되는 것이었지만, 손해를 보아서 지금의 일본사람들은 부동산에 투자할 생각이 없어, 플라자 합의후 80%이상 하락하였다, 한국도 일본과 같이 롱텀 디플레에 빠질 가능성이 높고, 잠시 코로나 등으로 일시 많은 돈을 풀어 유동성 증가에 의하여 인플레가 진행되지만 언제 어떻게 디플레가 진행될지 모른다며, 인플레시 투자방법은 다이아몬드 투자방법를 설명하여 달러 급등시 주식, 부동산, 금 등 은 급락하며, 롱텀 디플레시는 달러 급등시 주식 부동산 금 등 모두 급등하고, 달러하락시 같이 하락하는 역다이아 몬드 투자방법을 설명하고 있어, 인플레와 디플레시 투자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나무, 숲, 산, 산맥을 구별하는 좋은 내용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