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삶을 견디는 기쁨

[도서] 삶을 견디는 기쁨

헤르만 헤세 저/유혜자 역

내용 평점 5점

구성 평점 5점

비슷한 말이라도 누가 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다가온다. 말하는 사람에 대한 신뢰도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믿을 만한 말을 하는 것인가, 거짓을 품고 속이면서 하는 말인가. 이 경우, 듣는 쪽에서도 듣는 이의 역량만큼 알아듣게 될 것이다. 자신이 진실한 만큼만 상대를 진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테니.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헤세가 전하는 오래된 말들(글들). 막 새롭지는 않다. 대부분 어디에선가 본 적 있는 듯한 내용들이다. 그럼에도 헤세라는 사람을 떠올리며 읽고 있으면 예사롭게 넘어가지지가 않는다. 한번 더, 한번 더 보고 읽게 된다. 그리고 내 마음을, 내 기억을, 내 태도를, 내 생각을 헤아린다.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일까 되뇌면서.

 

정확하게 내가 계산을 해서 하는 말은 아니고, 나이든 헤세의 모습을 떠올린다. 나이가 얼마든 그게 중요한 건 아닐 테니까. 다만 자신의 생을 돌아보는 나이가 사람마다 다가올 것이다. 이 책에서 헤세가 그러는 것처럼. 헤세의 글을 읽고 내가 그러는 것처럼. 이렇게 돌아볼 때, 나는 나의 지금이 서글프지 않아서, 초라하지 않아서, 기죽지 않아서 좋다. 게다가 남들과 비교해 볼 때(비교할 필요가 전혀 없음에도) 작고 좁은 시야로 여길 수도 있겠지만 내 주변을 둘러보는 여유를 느낄 수 있어서 또 고맙다. 나는 나대로 괜찮게 나이들어 가고 있다는 기분을 확인한다.  

 

같은 형태의 책이 한 권 더 있다. 마저 정리를 해야겠다. 

 

헤세의 이 수필집에는 그림이 같이 실려 있다(전에도 이런 책을 본 적이 있다). 아마도 작가가 그린 작품들일 것이다.  작가의 글과 그림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게 참 마음에 든다.

 

 


 

 

14

적당한 쾌락을 즐기는 것이야말로 삶이 주는 맛을 이중으로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과 더불어 일상에서 느끼는 사소한 기쁨을 간과하지 말라는 조언도 꼭 하고 싶다. 

 

21

지친 몸을 추스르고, 일상의 피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거창한 쾌락이 아니라 사소한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77

하늘이 있는 풍경으로 더 자주 시선을 옮기고, 나무가 있는 자연으로 더 자주 발걸음을 하며, 자기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더 확보하며, 아름다움과 거대함의 비밀을 느낄 수 있도록 좀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 말이다. 

 

81

세상에는 크고 작은 길들이 너무나 많다.

그러나

도착지는 모두가 다 같다.

말을 타고 갈 수도 있고, 차로 갈 수도 있고

둘이서 아니면, 셋이서 갈 수도 있다.

그러나 마지막 한 걸음은 

혼자서 가야 한다. 

그러므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혼자서 하는 것보다

더 나은 지혜나

능력은 없다. 

 

100

향유, 즉 쾌락을 즐긴다는 것은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찌꺼기 하나 남기지 않고 제거한 후 남은 달콤함을 온전히 누리는 것이다. 그리고 기억한다는 것은 한 번 향유했던 쾌락을 아득한 먼 곳에 보내 버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새롭게 되새기는 것을 말한다.

 

137

마음이 무거울 때 쓸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 노래를 부르고, 경건하게 행동하고, 술을 마시고, 음악을 연주하고, 시를 짓고, 산책을 나가는 거다. 

 

140

우리가 경험하는 고통은 우리에게 모든 민족과 모든 존재하는 것들과 그 모든 것들을 아우르는 연대감을 준다.

 

189

우리는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상대로 싸우고 매듭을 풀었다가 또다시 매듭을 짓고는 한다. 그런 행위가 마침내 끝이 나면 완전한 이해와 흠 없는 조화, 그리고 완결된 미소와 긍정적인 대답을 얻을 수 있고 목표가 마침내 달성되면 우리는 비로소 미소를 지으며 숨을 거둔다. 

 

245

항상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쓴다고는 하지만, 유머리스트들이 내세우는 제목과 주제는 모두 구실에 불과하다. 사실상 그들의 주제는 예외 없이 단 한 가지뿐이다. 즉 별난 슬픔과 더러운 인간사, 그리고 삶이 그토록 비참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고 근사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대한 놀라움이다. 

 

284-285

알고 보면 인류가 항상 자신의 방식을 고집하는 것은 아니며 철저히 현실적이거나 유용한 것만 따지지도 않을 뿐더러 그렇게 탐욕스럽거나 타산적이지도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은 내게 근사하고도 묘한 경험이다. 

 

303

시인이나 음악가가 우리에게 주는 것은 그의 어둠이나 고통 혹은 근심이 아니다. 그들은 순수한 빛, 즉 영원한 유쾌함 가운데 한 방울을 우리에게 나누어 준다. 

삶을 견디는 기쁨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YBLOGWE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