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토머스 로렌스 경    <햄릿역의 갬블>

 

셰익스피어 명작 읽기 2

                                                   권오숙 외대교수

실존주의 철학자 햄릿

 

셰익스피어는 햄릿의 행동을 단순한 복수의 차원을 넘어서 정신적 긴장으로 가득 메웠다. 또한 그의 성격에서도 타고난 시대적 회의 정신과 결합시켜 사색과 행동 사이에 아슬아슬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존적 삶의 조건에 대한 햄릿의 비극적 통찰에서 시대를 초월하여 독자와 공감대를 지닐 수 있게 했다.

 

사느냐 죽느냐이것이 문제로다.“

세계 문학 사상 가장 유명한 이 독백은 생과 사의 본질적인 문제들을 이해하려는 데서 나온 햄릿의 갈등을 잘 보여주는 대사이다. 햄릿은 삼촌이 저지른 부왕 살해와 어머니의 성급한 변절로 이 세상에 대해 대단히 환멸을 느낀다. 그런 환멸 때문에 그는 자살의 충동을 느끼기도 한다. 위 대사는 자살의 충동을 느끼는 순간 햄릿 특유의 방식으로 자살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극의 언어 : 대사, 독백, 방백, 지문 그 중에서 독백

연극에서 독백이란 등장인물의 내면, 혹은 심리적 갈등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햄릿은 다른 어떤 극보다 독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그만큼 심오한 정신세계를 탐구하는 극이라고 볼 수 있다.

 

햄릿의 여성 혐오 담론

햄릿은 이 극 속에서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로다와 같은 여성 비하적 대사를 많이 한다. 이는 변절한 어머니에 대한 혐오 깨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어머니의 변절을 전 여성의 변절로 일반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래서 오필리어를 비롯한 모든 여성에 대한 혐오감을 표출한다.

 

극중극(play?withen-play)

셰익스피어는 햄릿을 비롯하여 여러 극에서 극중극의 형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 그 기능도 다양하다. ‘햄릿에서는 클로디오스의 마음 속 비밀을 캐내기 위한 도구로 극중극을 활용하고 있다. ‘한 여름 밤의 꿈에서는 비교적 신분이 낮은 직업조합의 장인들이 준비하는 극중극을 통해 다양한 관객층의 욕구를 만족시켜 준다. 저 유명한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불쌍한 땜장이 슬라이를 위해 준비한 극중극이다.

 

햄릿의 성격적 결함은 우유부단함

햄릿은 숙부에 대한 증오심과 복수심에 불타면서도 복수를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고통을 겪는다. 그렇게 햄릿이 복수를 지연하는 가운데 폴로니우스, 오필리어, 왕비 등이 희생된다. 이 때문에 힘릿은 우유부단한 인물의 전형으로 받아들여지고 그것이 그의 비극을 불러오는 성격적 결함이라고 흔히 말한다.

 

햄릿형 인간 대 돈키호테형 인간

투르게네프는 인간을 햄릿형 인간과 돈키호테형 인간으로 나누었다. 햄릿형 인간은 햄릿처럼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먼저 신중하게 생각을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돈키호테형 인간은 생각보다는 행동을 먼저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햄릿형 인간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생각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지만 너무 생각이 많은 탓에 머릿속 생각을 쉽게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게 흠이다. 반면 돈키호테형 인간은 일을 밀어 붙이는 추진력은 있지만 즉흥적인 감정이나 성급한 결정으로 시행착오를 반복하게 된다.

 

순종적 여성상 오필리어

오필리어는 자기 희생적이고 의존적이고 수동적이며 가부장에게 대단히 순종적인 여성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오랫동안 남성들이 생산해온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그 모든 특징을 한 몸에 담고 있는 오필리어는 마땅히 남성들의 숭배를 받아들여야할 대상인 것이다. 그래서 많은 남성 화가들이 그녀를 그 어떤 셰익스피어의 주인공보다 성스럽고 아름다운 이미지로 수없이 재현했다.

 

햄릿의 삶과 죽음에 대한 명상

4대 비극 가운데서도 햄릿이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히는 것은 이 극이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주제인 삶과 죽음의 본질을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셰익스피어는 이 극 속에 많은 삶과 죽음의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그런 문제들을 깊이있게 성찰한다. 또한 햄릿의 끊임없는 독백을 이용하여 인간의 조건에 대해 깊이있게 통찰하고 묘사하는데 바로 이 점이 이 극을 그의 최고작으로 만들어 준 것이다.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14

댓글쓰기
  • 파워블로그 청은

    우왕 ~세익스피어 2탄 +_+ 음 저는 아무래도 돈키호테형인간 같아요 ㅎㅎㅎㅎ ~ 생각을 깊이 하지 못하는게 단점..ㅠ.ㅠ ㅋㅋㅋ 햄릿형과 돈키호테를 믹스하면 완벽한 인간이 되는 건가요? ㅎㅎㅎ 세익스피어 ~~ 3탄도 있나요?

    2011.11.10 13:17 댓글쓰기
    • 기쁨주기

      돈키호테 옆에는 산쵸가 있어야 하는데....ㅎㅎㅎ
      8강까지 강의가 있는데 4대 비극 리뷰 쓰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네요....ㅠㅠ

      2011.11.10 22:45
    • 파워블로그 청은

      ㅋㅋㅋㅋ 아닙니다 어려워진다는 것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증거 입니다 하하 ~~ 산쵸는 어디서 데려오죠 ^^ ㅋㅋ 그럼 8탄까지 ~~!!!! 어제와 다른 사진이네요 ^^ 멋집니다 ! 오홋 ~ 잘생겼어요 ~

      2011.11.11 10:39
  • 파워블로그 블루

    셰익스피어와 햄릿에 대해서 저도 공부를 해봅니다.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로다'라는 말도 명대사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여성혐오 때문이었다니요.

    2011.11.10 16:03 댓글쓰기
    • 기쁨주기

      엄마에 대한 증오심 때문이고 결국 "모든 여자는 다 그럴 것이다"라는 햄릿의 생각이 오필리어와의 관계도 파국으로 만들어 가는군요

      2011.11.10 22:46
  • 스타블로거 꿈에 날개를 달자

    햄릿에 이런 의미가 있네요...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이유... 덕분에... 음 담에도... ㅋㅋ 잘난해 해 봐야겠어요... 널리 알려졌지만... 잘 몰랐던 사실... 감사합니다. ^^

    2011.11.10 16:11 댓글쓰기
    • 기쁨주기

      명작은 결국 인물로 탄생되는군요. 인간이 깊은 내면을 탐구한 것이 햄릿이 명작이 된 이유군요.

      2011.11.10 22:48

PYBLOGWEB2